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해 “다루기 힘든 사람”이라는 발언을 하며 그의 복잡한 성격을 강조했다. 1일(현지시간) 뉴스맥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푸틴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한 질문에 대해 “그는 확실히 만만찮은 상대지만, 변하지는 않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좋은 대화를 여러 차례 나눴지만, 갑자기 폭탄이 떨어지기 시작했다”며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피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에게 ’10∼12일 이내’ 휴전에 합의하라는 요구를 하며, 만약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추가 제재를 가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푸틴은 제재를 피하는 데 상당한 능력을 갖고 있다”면서 자신이 푸틴과 여러 차례 대화를 나누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돌아와 보니 키이우와 다른 도시에서 폭탄이 떨어지고 사람들이 다치고 있는 상황을 보고 무척 놀랐다”고 회상하며 푸틴과의 대화가 실제로 성과를 내지 못한 점을 아쉬워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이 핵무기를 언급한 것에 대해 “우리는 언제나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를 위해 해당 지역에 핵잠수함 두 대를 배치했다고 전했다. 이러한 발언은 러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푸틴과의 외교적 관계가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를 다시금 생각해보게 한다.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식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현실은 상당히 복잡한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다. 푸틴과의 관계 회복을 위한 대화의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동시에 긴장은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발언은 미국 내외에서 푸틴과의 외교 및 군사적 접근 방식에 대한 논란을 더욱 증폭시킬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재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우크라이나 전쟁의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의 과거 행보를 고려할 때, 그의 반응과 전략에도 많은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