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한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한 질문에 대해 협상이 간단히 마무리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현재 25%의 관세 발효가 임박한 상황에서, 미국과 한국 간의 막판 협상에서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스코틀랜드에서 워싱턴DC로 돌아오는 도중 백악관 풀 기자단의 질문을 받았다. 기자가 ‘관세 협상이 내일 끝날 것이냐’고 묻자, 트럼프 대통령은 “내일 무엇을 끝낸다는 것이냐”고 되물었다. 기자가 “관세”라고 답하자, 그는 “관세는 내일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하며, “하지만 우리나라는 매우 부유해지고 있으며, 이것이 우리가 원하는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우리는 부유한 미국을 만들고 싶다. 지금 우리는 많은 돈을 가져오고 있으며, 매우 강력하고 부유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구체적으로 한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한 내용인지, 일반적인 관세 협상에 대한 입장인지 명확하지 않다. 특히 한국은 유럽연합(EU), 일본, 영국 등 다른 주요 국가들과의 무역 합의를 체결한 상황에서, 25% 상호관세 유예 조치가 종료되는 8월 1일까지 협상을 마무리해야 하는 긴박한 상황에 처해 있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최근 스코틀랜드에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만나 한국 측에 주요 무역 제안을 제출할 것을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한국이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더 유리한 입장을 취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복잡한 협상 과정을 예고하는 신호로 읽힐 수 있다. 한국 측은 효과적인 전략을 세워 상대적으로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원만한 협상을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이후 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질 경우, 양국 간의 무역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트럼프 정부와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협상의 진전을 도모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