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 시간) 한국에서 예정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것임을 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의 기간 동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이 이루어질지에 대해서는 확실한 답변을 주지 않으며 “그 회담을 하게 될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나는 그곳에 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APEC 정상회의는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아스트라제네카의 약값 인하 정책을 발표한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며 이러한 입장을 피력했다. 이는 시 주석과의 만남이 불발되더라도 자신은 한국을 방문할 계획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는 이어 “아마 우리가 회담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번 회담에 대한 불확실성은 중국의 최근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와 관련이 깊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조치를 두고 “전 세계를 강타한 충격적인 일”이라며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그는 지난날 트루스소셜에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는 전 세계를 인질로 잡는 것”이라는 시각을 드러내며, “2주 뒤에 한국에서 열리는 APEC 회의에서 시진핑과 만날 계획이었지만, 이제는 그럴 이유가 없어 보인다”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중국의 조치에 맞서 11월 1일부터 중국 제품에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핵심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실시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이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재점화되는 것과 관련된 결정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국제 경제에 미칠 잠재적 영향과 함께, 양국 간의 외교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한국에서의 APEC 정상회의는 동아시아 경제협력의 중대 사건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세계 경제의 향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참석 의사는 한국이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 속에서도 중요한 외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국제 사회의 이목이 집중된 이번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의 담판이 이루어진다면, 글로벌 경제와 다자 간 외교에도 큰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