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발표한 행정명령은 미국의 퇴직연금 시장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정명령은 약 9조 달러(한화 약 1경 2,510조 원)에 달하는 미국 퇴직연금 시장을 겨냥하고 있으며, 특히 401(k) 연금계좌에서 비트코인 및 기타 디지털 자산의 투자 옵션을 법적으로 허용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401(k) 연금 제공자들이 암호화폐 투자 옵션을 도입할 때 법적 책임에 대한 우려 없이 운영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완화할 계획이다. 이는 그동안 주식, 채권, 뮤추얼펀드, 금 등 전통적인 자산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던 퇴직연금에 비트코인과 같은 대체 자산이 포함될 가능성을 높인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올해 5월, 바이든 행정부에서 제정되었던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제한 지침을 철회한 바 있다. 이로 인해 관련 규제 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이번 행정명령은 퇴직연금에서 비트코인 투자를 명확히 허용하는 중대한 전환점으로 해석된다. 이로 인해 디지털 자산이 합법적인 재테크 수단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대응이 시작되고 있다. 블랙록($BLK)과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와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들은 암호화폐 연금 상품 개발을 위해 준비 중이며, 제도화를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암호화폐를 포함한 퇴직연금 상품이 도입되기까지는 시간과 규제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제도적인 수정에 그치지 않고, 디지털 자산이 미국의 주요 금융 생태계에 통합되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401(k) 연금계좌의 특성상, 월급에서 자동으로 투자되는 구조는 비트코인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할 가능성을 제기한다. 더 나아가, 스테이블코인과 같이 변동성이 낮은 암호화폐가 퇴직계좌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미국의 은퇴 자산이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다변화된 디지털 포트폴리오로 확장된다면, 이는 장기적인 수요를 뒷받침하고 암호화폐 시장의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단기적인 호재를 넘어, 암호화폐가 전통자산과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투자 환경을 여는 신호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제도 정비와 금융사의 준비가 동반된다면, 퇴직연금과 암호화폐가 함께 논의되는 시대가 머지않아 다가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미국의 퇴직연금 시장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열어가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