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커피와 바나나 등 농산물 관세 인하 예고…물가 안정 총력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소비재와 식품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하할 계획을 발표하며 물가 상승과 생활비 안정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 지방선거에서 공화당이 부진한 결과를 얻은 뒤, 생계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12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세부사항을 밝히기는 어렵지만, 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품목들에 대한 관세 인하 조치가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커피와 바나나, 다양한 과일들이 관세 인하 대상 품목으로 거론되었으나, 구체적인 세부 내용은 설명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커피에 대한 관세를 낮출 것”이라고 언급하며 이와 같은 관세 인하 방침을 확고히 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러한 조치가 물가를 신속하게 낮출 것이라며, 미국인들이 2026년 초반에는 인플레이션 상황이 개선되었다고 느낄 것이라고 덧붙였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또한 식품 관세 조정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워싱턴D.C.에서 열린 이코노믹클럽 행사에서 “최근 며칠간 식품 관세 조정에 대한 대화가 활발히 이루어졌다”며, 예상 이상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니 지방선거에서의 패배 이후 물가와 생활비 문제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뉴욕 시장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 조란 맘다니가 강조한 ‘살인적인 물가’는 젊은 세대와 저소득층의 호의를 얻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감당할 수 있는 비용(affordability)’ 문제가 현재 정치권의 핵심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주요 경제 정책 인사들이 물가 안정에 관한 메시지를 연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베선트 장관은 MSNBC 인터뷰에서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물려받은 ‘어포더빌리티의 위기’를 언급하며, 현재 물가 상승률이 억제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제조업 복원 정책이 실질 노동 임금을 상승시켜 어포더빌리티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인플레이션 하락 주장이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다는 지적도 있다. 최근 발표된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으며, 이는 여전히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목표치인 2%를 크게 초과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박을 증가시킨 후, 식품 관세를 인하하는 것은 정치적 계산이 섞인 조삼모사식 정책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제롬 파월 Fed 의장도 상품 가격 상승은 관세 인상의 결과라고 지적하며, 관세 인상의 영향을 제거할 경우 물가 상승률이 2% 목표에 훨씬 더 가까워질 것이라고 발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1인당 2000달러 규모의 ‘관세 배당금’ 지급 구상도 발표했다. 이런 정책은 생활비 부담 해소라는 명분과 함께 우호적 여론을 확보하기 위한 계산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관세로 물가 압력을 자초한 뒤 현금을 지급하는 형태가 된다면 정책의 일관성에 대한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