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401(k) 퇴직연금 계좌에 암호화폐 포함을 허용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임을 백악관이 공식 발표했다. 이 조치는 미국 근로자들의 퇴직 자금 활용 방식에 큰 변화를 예고하며, 디지털 자산을 제도권으로 편입하려는 흐름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분석된다.
백악관 대변인은 25일(현지 시간)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 노동부에 401(k)와 같은 확정 기여형 퇴직연금의 대체자산 투자 제한을 재검토하라는 행정명령에 곧 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행정명령은 디지털 자산, 사모펀드, 부동산 등 다양한 대체 투자 자산이 연금 포트폴리오에 포함될 수 있도록 지침을 정비하라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이번 명령은 노동부 장관에게 대체자산 투자 정책을 명확히 하고, 연금계좌에 이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같은 조치가 이뤄짐으로써 비트코인(BTC)이나 이더리움(ETH)과 같은 기존의 고위험 자산이 퇴직연금 투자 자산으로 새롭게 편입될 가능성이 열리는 것이다.
현재 미국의 401(k) 계좌에는 약 6천500만 명이 가입해 있으며, 총 운용 자산 규모는 7조3,000억 달러(약 1경 160조 원)에 달한다. 만약 이번 행정명령이 현실화된다면, 이 막대한 자금 일부가 암호화폐 시장으로 흘러들어갈 가능성에 대해 업계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이는 암호화폐 시장의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대선 유세에서도 암호화폐에 대한 친화적인 태도를 보이며 암호화폐 유권자층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행정명령이 단순한 정책적 상징성을 넘어 실질적으로 암호화폐 산업의 성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디지털 자산을 주류 금융시장에 포함시키려는 정치적 접근이 강해짐에 따라, 향후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규제와 정책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 궁극적인 변화는 근로자들이 기업의 퇴직연금 프로그램을 통해 암호화폐에 접근할 기회를 늘리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암호화폐의 제도적 수용이 한층 더 진전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