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일 부과 예정이던 수입 의약품 100% 관세 부과 연기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부터 시행하려던 수입 의약품에 대한 ‘100% 관세’ 부과를 미루기로 결정했다. 이번 결정은 다국적 제약회사들과의 협상 진행 상황을 감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정치 전문 매체인 폴리티코에 따르면, 백악관 관계자는 의약품 관세 부과를 위한 일정을 잠정적으로 중단했다고 밝혔다. 이는 외국 주요 제약사들과의 협상과 연관이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 내 의약품 제조 공장이 없는 경우에는 오는 1일부터 모든 브랜드 의약품과 특허 의약품에 대해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현재까지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구체적인 행정명령을 발표하지 않았고, 의약품 관세 부과에 대한 결정이 한동안 지연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100% 관세 부과 발표 이후, 제약사 화이자는 발 빠르게 대응하였다. 이들은 지난달 30일 미국 내에서의 신약 판매가격을 인하하고, 7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러한 화이자의 대응에 트럼프 대통령은 ‘3년간의 세금 유예’를 약속하며 화답했다.

화이자 외에도 다른 다국적 제약사들도 미국 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대미 투자와 판매가격 인하를 목표로 하고 있어, 의약품 관세 부과 일정은 한층 더 미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와 같은 상황은 미국 정부가 외국 제약사들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복잡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트럼프 정부의 이와 같은 결정은 국내 약가 인하 및 제약산업 내 경쟁 촉진을 위한 방침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각 제약사들은 이 호기를 활용해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정책 변화는 미국 의약품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제약업계의 투자 계획과 가격 구조에 중요한 기로가 될 전망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