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401(k) 퇴직연금 계좌에 암호화폐 투자 허용…6,000조 원 시장 활성화 기대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401(k) 퇴직연금 계좌에 암호화폐 및 대체자산 투자를 허용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함에 따라, 미국 투자자들의 은퇴자산이 디지털 자산 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커졌다. 업계에서는 장기적으로 비트코인(BTC)과 같은 주요 암호화폐로 대규모 자금이 유입될 것이라는 기대를 내비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위 행정명령을 통해 401(k)와 이와 유사한 확정기여형 연금계획에서 암호화폐, 사모펀드, 부동산 등의 대체자산에 대한 투자를 허용하도록 미 노동부에 규제 재검토를 지시했다. 이는 기존의 금융 시스템과 자산 운용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조치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미국의 전체 퇴직연금 자산 규모는 약 43조 4,000억 달러(약 6,033조 원)에 달하며, 이 중 401(k)를 포함한 확정기여형 계좌의 규모는 12조 달러(약 1,668조 원)에 이른다. 특히 8조 7,000억 달러(약 1,209조 원)는 401(k)에 집중되어 있어, 이 자금의 일부만 암호화폐로 이동하더라도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에 대해 신중하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미국의 주요 암호화폐 운용사 관계자는 “기관투자자들이 제도적 틀 내에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ETH) 등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 것은 매우 긍정적인 신호”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향후 상장지수펀드(ETF)나 디지털 자산 기반의 운용 상품이 확대될 경우, 암호화폐가 은퇴자산의 분산 투자 수단으로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행정명령 발효와 함께 공석 중인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 이사 자리에 스티븐 미란(Stephen Miran)을 지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미국 재무부 수석 고문으로 일한 경험이 있으며 금리와 자산시장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암호화폐에 대한 친화적인 정책을 점차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리플(XRP)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의 법정 분쟁이 마무리된 가운데, 더 넓은 범위에서 제도와 실물 경제 간의 접점을 확장하려는 노력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암호화폐 산업은 제도권 진입을 모색하며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