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론(TRX) 투자자들이 최근 대규모 차익 실현에 나서며 시장의 시선을 끌고 있다. 특히, 3~5년 이상 장기 보유한 지갑 주소들이 이번 이익 실현의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트론의 하루 실현 이익이 약 14억 달러(약 1조 9,460억 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온체인 분석업체인 글래스노드(Glassnode)에 따르면, 이번 대규모 차익 실현은 트론 역사상 올해 들어 두 번째로 큰 규모이며, 주로 2020~2021년의 강세장에서 매수한 장기 보유자들의 매도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들의 이탈로 인해 시장에서 단기적인 변동성이 유발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8월 5일 하루 동안 기록된 14억 달러 규모의 실현 이익은 같은 날 비트코인(BTC)의 실현 이익 6억 6,510만 달러(약 9,248억 원)와 이더리움(ETH)의 3억 3,720만 달러(약 4,679억 원)를 크게 웃도는 수치이다. 글래스노드는 이후에도 트론 네트워크에서 하루 평균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의 이익 실현이 지속되고 있다고 전했으며, 이는 트론이 수개월 만에 맞이한 가장 지속적인 차익 실현 흐름으로 평가받고 있다.
시장 내 투자 심리를 반영하는 지표 역시 이러한 트렌드를 지지하고 있다. 현재 트론의 ‘순미실현손익(NUPL)’ 지표는 낙관과 불안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출 산출 이익비율(SOPR)’은 1을 초과해 강한 차익 실현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동시기에 트론의 하루 실현 손실은 고작 3만 1,600달러(약 4,392만 원)에 그쳤다.
이러한 차익 실현 흐름은 트론 생태계 전반의 활동 증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최근에는 트론이 미국 달러에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의 글로벌 거래량에서 이더리움을 5배 이상 앞지르는 등 활발한 네트워크 사용을 보여주고 있다. 올해 들어 트론 내 USDT 공급은 200억 달러(약 27조 8,000억 원) 이상 증가했으며, 현재 총 810억 달러(약 112조 5,900억 원) 이상의 USDT가 트론 블록체인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트론은 글로벌 USDT 이체의 약 60%를 처리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과 제도권 기관들 사이에서 선호되는 네트워크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성장을 바탕으로 최근 장난감 기업 SRM 엔터테인먼트가 TRX를 회사 자산에 도입하고 사명을 ‘Tron Inc.’로 변경하는 사례도 발생했다.
이처럼 장기 보유자들의 대규모 이익 실현 속에서도 트론 생태계의 실사용 확장과 네트워크 수요 증가는 TRX의 중장기적 전망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전문가들은 앞으로 당분간 차익 실현에 따른 가격 조정 가능성을 투자자들이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