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네트워크, 테스트넷 v23 업그레이드로 KYC 기능 통합 본격화

[email protected]



파이네트워크(Pi Network)가 최근 대규모 프로토콜 업그레이드인 테스트넷 v23을 완료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정보는 공식 발표가 아닌 제3자 커뮤니티를 통해 전해졌으나, 테스트넷의 버전 변화가 확인되면서 업그레이드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파이네트워크의 전문 트위터 계정 ‘Pi News’는 19일, 테스트넷의 프로토콜이 v23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고 발표하며 관련 스크린샷을 함께 공개했다. 이 소식은 커뮤니티 전반에 빠르게 퍼져 나갔으며, 많은 이용자들은 공식 개발팀의 공식 설명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파이네트워크는 수개월 전 프로토콜 v19에서 v23으로의 전환을 예고했으며, v23은 스텔라(Stellar)의 최첨단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맞춤형 설계가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진다.

이번 v23의 가장 큰 특징은 실명인증(KYC) 기능을 프로토콜 레벨에서 구현한 점이다. 이를 통해 파이 생태계의 KYC 기반 블록체인 안정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최근에는 ‘패스트트랙 KYC(Fast Track KYC)’라는 새로운 검증 절차도 도입되었으며, 이 방식은 인공지능 기능과 결합하여 KYC 진행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더불어, 이 기능은 지갑 활성화 조건을 대폭 완화하여 사용자가 메인넷 이전에도 지갑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한편, 파이(PI) 토큰의 가격은 최근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2월, PI 토큰은 3달러(약 4,170원) 근처까지 상승했지만 현재는 0.35달러(약 486원) 수준에 불과하며, 이는 최고치 대비 무려 88% 하락한 상황이다. 이달 말 저점과 비교해 겨우 8% 회복한 상태에서 이번 프로토콜 업그레이드가 이 토큰 가격 반등의 계기가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부 분석가들은 여전히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인플루언서 ‘문 제프(Moon Jeff)’는 PI가 조만간 1.23달러(약 1,710원)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3달러(약 4,170원)를 넘기는 경향이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현재 파이네트워크는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테스트넷의 변화와 신규 KYC 시스템의 도입을 고려할 때 메인넷 론칭을 위한 마지막 조정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커뮤니티 회원들은 공식 발표를 기대하고 있으며, 향후 개발팀의 공식화 여부에 따라 PI 토큰의 가격 흐름 또한 달라질 전망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