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네트워크, 트랜스파이와의 통합으로 70개국에서 PI 토큰 거래 가능

[email protected]



파이네트워크(Pi Network)는 최근 리투아니아 핀테크 기업 트랜스파이(TransFi)와의 공식 통합을 발표하며, 전 세계 70개국 이상에서 사용자가 자국 통화로 PI 토큰을 직접 거래하고 환전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번 통합은 파이네트워크의 실사용 기반 확장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트랜스파이의 기술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트랜스파이는 지역 은행 및 간편결제 서비스를 연결하여 사용자 접근성을 높이는 핀테크 플랫폼이다. 이로 인해 파이네트워크의 사용자들은 더욱 간편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제 및 환전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번 통합은 파이 지갑(Pi Wallet)에 온램퍼(Onramper) 기술이 도입되어 사용자들이 트랜스파이뿐만 아니라 다른 온램프 서비스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다. 현재 파이네트워크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KYB 인증 온램프 파트너사는 온램프머니(Onramp.money), 트랜스파이, 뱅사(Banxa)로 한정되어 있다.

또한, 파이네트워크는 지갑 주소에 개인 도메인을 부여할 수 있는 ‘.pi 도메인 경매’의 마감 기한을 9월 말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도메인 서비스는 이더리움의 .eth,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의 .bnb와 유사하게 작동하여 사용자들이 기존의 복잡한 주소 대신, 자신만의 고유한 이름으로 설정하여 보다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반복적인 일정 연기는 일부 커뮤니티에서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파이네트워크가 몇 년간 오픈 네트워크 상용화 등 핵심 이벤트의 출시를 연기해온 만큼, 이번 도메인 경매 연장 또한 사용자들 사이에서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각이 존재한다. 일부 사용자들은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신뢰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심지어 ‘사기’ 의혹까지 제기한 사례도 나타났다.

현재 파이네트워크는 여전히 메인넷 가동 전이라는 한계를 가진 상황이지만, 유틸리티 생태계의 확장과 글로벌 결제 통로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트랜스파이와 같은 KYB 인증 파트너사와의 협업은 이러한 방향성을 강화하는 주요 지표로 여겨진다. 이번 온보딩 행보가 PI 토큰의 유통 활성화와 사용자 신뢰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업계의 주목이 집중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