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파이코인(PI)은 2025년 9월 8일 기준으로 0.342~0.345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주요 지지선을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반적인 시장의 약세 속에서 가격은 횡보하고 있으며,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추가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파이코인은 현재 약 0.3459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24시간 기준으로는 약 0.25% 상승했지만, 최근 30일간 17.3%, 90일 기준으로는 무려 46.1% 하락하며 지속적인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27억 8천만 달러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0718%에 불과하다.
기술적 분석에서는 PI가 0.316달러 지점에서 더블 바텀 패턴을 형성하고 있으며, 볼린저 밴드의 폭이 좁아지는 현상은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저항선은 0.352달러, 0.368달러, 0.380달러에 자리잡고 있으며, 지지선은 0.344달러, 0.335달러, 0.320달러로 설정되어 있다.
파이네트워크는 최근 ‘프로토콜 23’ 업그레이드를 실시하며 분산형 KYC(신원 인증) 시스템과 리눅스 노드 지원을 도입했다. 이는 기관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되나, 현재까지 거래 가격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다가오는 대규모 토큰 언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25년 9월에는 2,220만 개의 토큰이 언락될 예정이며, 9월부터 12월 사이에는 1억 5천만에서 1억 7천만 개의 추가 토큰이 풀릴 계획이다. 2026년에는 총 12억 7천만 개 이상의 파이코인이 시장에 유통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한 공급 증가가 가격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느린 메인넷 전환은 생태계의 신뢰도를 약화시키고 있으며, 상위 100개 지갑이 전체 공급량의 96.37%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앙화 논란도 증폭되고 있다. 최근 대형 투자자가 약 3억 5천만 파이코인(약 1억 2,500만 달러 규모)을 축적한 사실도 포착되었으나, 분석가들은 여전히 시장의 변동성과 투자 심리 악화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파이코인의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단기적으로 PI가 평균 0.3424달러에서 거래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저항선을突破하고 전반적인 알트코인 시장에 활기를 되살린다면 0.469달러에서 최대 0.7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지지선이 무너지면 가격은 0.335달러 또는 0.320달러로 하락할 수 있다.
현재 파이코인은 63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일일 거래량은 약 2,070만 달러로 전일 대비 5.29% 감소하였다. 유통 중인 토큰 수는 약 80억 4천만 개로, 총 공급량인 1천억 개의 약 8%에 해당한다. 지나친 유동성 부족, 생태계의 지연 및 기술적 저항 등 복합적인 리스크에 직면해 있는 파이코인은 특히 대규모 토큰 언락 일정이 다가옴에 따라 더욱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