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 급등 후 조정세…기술적 발전과 생태계 확장은 지속

[email protected]



암호화폐 파이코인(PI)이 최근 크고 작은 변동성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으며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지난 24시간 동안 파이코인은 25% 급등하여 0.29달러(약 390원)에 도달한 뒤, 조정세를 보이며 현재 약 0.23달러(약 310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번 급등에도 불구하고 파이코인은 지난 3개월간 43% 이상 하락했으며, 2025년 2월 기록한 최고가인 3달러(약 4,000원) 대비 93% 가까이 폭락한 상황이다. 이틀 동안 거래량은 1,080% 증가하여 약 1억 1,400만 달러(약 1,530억 원)를 기록하며 단기적인 거래 수요가 크게 상승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주요 거래소에서 대규모 자금이 출금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에 상응하는 매수세의 부족을 관찰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과거 최고가로의 회복 가능성이 낮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가격 하락과는 별개로, 파이 네트워크는 기술적 개선 작업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현재 테스트넷에서 프로토콜 버전 23을 시험 중이며, 이는 2025년 4분기의 메인넷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업그레이드는 네트워크의 확장성 및 처리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중점이 두고 있다.

또한 사용자 기반의 성장도 지속되고 있으며, 최근 336만 명의 신규 사용자가 KYC(실명 인증)를 완료하였고, 전체 인증 사용자 수는 2,100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이 외에도 270만 명의 사용자가 이미 차세대 프로토콜로 마이그레이션을 완료하였고, 현재 ISO 20022 표준의 통합도 준비 중이다.

기술적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파이코인의 주요 저항선은 0.28달러(약 380원)로 분석되고 있다. 이 저항선을 돌파할 경우 단기적으로 0.36달러(약 490원)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지만, 돌파에 실패할 경우 0.20달러(약 270원) 이하로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현재 파이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19억 2,700만 달러(약 2조 5,900억 원) 수준이며, 전체 암호화폐 시장 점유율은 약 0.05%에 달하고 있다. 완전 희석 기준 시가총액은 약 232억 5백만 달러(약 31조 3,700억 원) 수준으로 분석된다.

파이 네트워크의 메인넷은 2025년 4분기로 예정대로 출시될 것으로 보이며, 기술 업그레이드와 사용자 마이그레이션이 중요한 기점으로 고려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채굴 전략을 통해 암호화폐 접근성을 높인 파이 네트워크는 개발도상국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향후 파이코인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사용 사례 확보와 생태계 활용성의 확장이 필수적이다. 게다가 레이어-1 프로토콜로서의 기술적 완성도가 장기 수익성의 핵심 요인이 될 전망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