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 0.37달러 기록…메인넷 지연과 시장의 부정적 신뢰

[email protected]



현재 파이코인(PI)은 0.3787달러(한화 약 51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지난 일주일 동안 약 5.11% 하락한 결과다. 특히, 2월 고점인 2.98달러(약 4천 원) 대비 약 80% 하락한 수치로, 24시간 동안에도 1.51%의 하락폭을 보이고 있다. 월간 데이터로 보면, 가격은 약 13.7% 감소한 상태다.

기술적 분석을 살펴보면, 파이코인은 현재 ‘컵앤핸들’ 패턴을 진행 중이며, 주요 저항선인 0.48달러(약 650원)를 뚫으면 약 24%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필수 지지선인 0.40달러(약 540원)가 무너질 경우, 하향 목표치는 0.36달러(약 480원)로 설정되며, 최악의 경우 역대 최저치인 0.32달러(약 430원)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파이코인의 가격 변동은 최근 도지코인(Dogecoin), 시바이누(Shiba Inu), 본크(Bonk), 플로키(Floki)와 같은 주요 밈코인과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코인과의 상관계수가 각각 0.76, 0.84, 0.89, 0.86에 이르며, 이는 파이코인이 더 이상 전통적인 유틸리티 코인이라기보다는 밈코인 시장의 감정에 민감한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파이 네트워크는 최근 .pi 도메인 경매 및 사용자 맞춤형 지갑 주소 시스템 도입 등 긍정적인 신호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러한 개선 시도는 단기적인 가격 반등이나 페이지의 유동성 확보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AI 애플리케이션 스튜디오 계획과 1억 달러(약 1,350억 원) 규모의 프로젝트 펀드 운영 계획도 거론되고 있지만, 실질적 효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현재 파이코인은 여전히 ‘폐쇄형 메인넷’ 상태로, 외부 거래소 상장이나 자유로운 글로벌 거래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시장에서 신뢰할 수 있는 가격 발견이 어려워지면서 장기 투자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많은 커뮤니티 구성원은 대규모 사용자층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채택과 유통에서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여러 요인 속에서 일부 파이코인 투자자들은 다른 대안 자산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레밋틱스(RTX)와 같은 신규 프로젝트들이 거래소 상장을 앞두고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들 프로젝트에 대해 “한 번의 사이클에서 온 투자 기회”로 보는 시각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파이코인은 현재 기술적 반등의 가능성과 함께 ‘오픈 메인넷’ 지연이라는 구조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높은 밈코인 시장의 연관성으로 외부 감정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장기적인 성공 여부는 메인넷 전환, 유동성 확보 및 실사용 확대 등 핵심 이정표 달성에 달려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