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 0.40달러 회복에도 바이낸스 상장 가능성 여전히 미지수

[email protected]



파이코인(PI)은 최근 가격이 0.40달러를 회복했지만, 바이낸스를 포함한 주요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될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파이코인의 핵심 개발팀은 공식적인 오픈 메인넷 계획과 토큰 이코노믹스에 대한 세부 정보를 아직 공개하지 않고 있으며, 이는 업계 전문가들에 의해 상장 지연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8월 11일 기준으로 파이코인은 0.4045달러(약 540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7일 동안 14.2%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24시간 내 변동폭은 미미하다. 가격은 한때 0.46달러의 저항선을 돌파하려 시도했지만 실패해 약 4% 하락하여 현재는 0.40달러 초반대에서 횡보하는 상황을 보이고 있다. 크립토랭크의 분석에 따르면, 파이코인은 0.429달러 주변의 200일 지수이동평균선에서 강한 매도 압력을 받고 있으며, 현재 OBV(On-Balance Volume) 지표는 수개월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어 누적 매수세 부족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지표들은 기술적 반등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귀환 소식이 나오면서 최근 파이코인이 8월 15일 바이낸스에 상장될 것이라는 루머가 돌기도 했지만, 업계 대부분은 이를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 뱅클레스타임즈는 “바이낸스나 코인베이스, 업비트와 같은 1티어 거래소는 상장 계획을 사전 공개하지 않는다”며, 상장이 이루어지더라도 급등 후 하락하는 패턴이 일반적이라고 경고했다. 코인페디아 역시 파이코인의 핵심 개발팀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장은 성급하다고 분석, 8월 15일 상장 가능성이 낮다고 평가했다.

그렇다면 파이코인 상장 지연의 주된 원인은 무엇일까? 그것은 명확하지 않은 오픈 메인넷 로드맵과 토큰 분배 구조에서 기인한다. 현재 파이코인 개발팀은 시스템 스트레스 테스트와 미세 조정을 진행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지만, 이에 대한 공식적인 발표는 없는 상황이다. 뱅클레스타임즈는 “정확한 개발 로드맵이 부재하여 투자자들의 신뢰도가 낮고, 따라서 상장 일정이 장기적으로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현재 파이코인의 유통 공급량은 대략 78억 1천만 개로, 총 발행량 1천억 개의 약 7.8%에 해당한다. 시가총액은 약 31억 6천만 달러(약 4조 2천억 원)로, 암호화폐 시장 전체에서 0.0794%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완전 희석 시가총액으로 따졌을 때는 약 405억 달러(약 54조 5천억 원)에 달한다.

향후 전망에 있어 전문가들은 파이코인이 주요 거래소에 상장될 가능성이 열려있기는 하지만, 단기적인 가격 급등 후 조정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중장기적인 상승세를 위해서는 오픈 메인넷 및 토큰 이코노믹스와 관련된 투명한 정보 제공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강조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명확한 상장 일정이나 주요 업데이트가 발표되지 않아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