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 9월 2,200만 토큰 해제 앞두고 0.345달러에서 지속적인 거래…상승 전환의 가능성은?

[email protected]



파이코인(PI)은 최근 0.345달러(약 460원)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24시간 동안의 변동률은 겨우 1.2% 상승에 그쳤고, 주간 기준으로는 9.75%, 30일 간 4.91%, 90일 간에는 45.22% 하락하여 약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가격은 이전 최고가 대비 88% 이상 하락한 상태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파이네트워크는 스텔라(Stellar) v23 기반의 ‘프로토콜 버전 23’ 업그레이드를 단계적으로 시작했다. 이번 업그레이드의 주요 내용은 분산형 KYC(Know Your Customer) 시스템의 도입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 검증 절차를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약 1,500만 명이 KYC 과정을 완료했으며, 이 업그레이드는 향후 규제 준수와 생태계 확장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오는 9월 초에 약 2,200만 PI 토큰이 유통될 예정이어서 이에 따른 공급 압박이 우려된다. 현재 유통 중인 약 79억 9,400만 개의 파이코인 공급량을 고려했을 때, 시장의 수요를 초과하는 추가 물량이 유입될 경우 가격 하락의 리스크가 더욱 커질 수 있다.

한편, 파이코인은 최근 온램프 머니(Onramp Money)와 반사(Banxa)와 제휴하여 사용자 접근성을 확대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그러나 여전히 바이낸스나 코인베이스와 같은 주요 중앙화 거래소에는 상장되지 않아 가격 결정과 유동성 면에서 한계가 있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파이코인은 0.342달러(약 455원) 부근에서 횡보하고 있으며, 볼린저 밴드의 수축과 와이코프 축적 패턴 기반의 분석 지표에 의하면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항선인 0.38달러(약 505원)를 돌파할 경우 단기 목표가는 0.4655달러(약 620원)로 제시된다. 그러나 실제 상승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메인넷 출시 또는 주요 글로벌 거래소에의 상장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지배적이다.

커뮤니티 내에서는 향후 전망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일부는 주요 호재가 발생할 경우 1달러(약 1,330원)까지의 상승 가능성을 제시하는 반면, 더 보수적인 예측에 따르면 뚜렷한 이슈가 없을 경우 2025년 말까지 0.40~0.60달러(약 530~800원) 사이에서 거래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따라서 파이네트워크는 단기적인 가격 상승보다는 장기적인 탈중앙화 및 인프라 구축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 거래소와의 협력 부족, 토큰 해제에 따른 공급 부담, 그리고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미비한 투자 심리 등은 여전히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메인넷의 정식 출시와 대형 거래소 상장에 대한 일정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향후 주요 가격 촉매는 기술 출시 성과나 거래소 제휴 확장 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7일 기준 파이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27억 5,800만 달러(약 3조 6,650억 원)로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4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24시간 거래량은 약 2,188만 달러(약 291억 원)로 하루 전보다 10.1% 감소하였다. 이는 최근 거래 활동의 둔화와 투자자들의 신중한 자세를 시사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