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PI), 약세장 속에서 가능성 조명… “6,500만 사용자와 실물 결제 확대 주목”

[email protected]



파이코인(PI)은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약세장에서도 다시 한번 투자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최근 한 달 동안 17% 하락하며 0.43달러(약 598원) 근처에서 거래되고 있는 이 토큰은 6월 이후 0.39~0.67달러(약 542~933원) 사이에서 지배력을 잃어가고 있지만, 그 배경에 있는 펀더멘털은 여전히 강력하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Pi 네트워크의 생태계는 최근 1,080만 개의 PI 토큰이 시장에 풀리며 유통량이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긍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 김황(Kim Wong)은 “Pi 네트워크를 실패한 프로젝트라고 단정할 수 없다”며, 이 프로젝트의 성과를 강조하기 시작했다. 현재 파이코인은 200개국 이상의 6,500만 사용자, KYC 인증을 받은 1,800만 명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1,300만 명 이상이 직접 지갑으로 토큰을 이동한 사례가 있다. 이는 메이저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이루어진 성과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SNS에서도 Pi 네트워크의 성장 가능성이 엿보인다. 플랫폼 X(구 트위터)에서 Pi 네트워크는 434만 명의 팔로워를 확보하여, 바이낸스와 비트코인에 이어 전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팔로워를 보유한 코인 프로젝트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SNS 확장성은 파이코인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기술적 기반 또한 탄탄하다. 현재 운영 중인 노드는 40만 개에 달하며, 이는 PoW 중심의 전통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넘어서는 사용자 기반 분산형 생태계의 실질적인 작동을 시사한다. 생태계 내 실질적인 활용 사례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최근 Pi 네트워크는 1억 달러(약 1,390억 원) 규모의 ‘Pi 벤처스 펀드’를 설립해, 파이코인을 기반으로 한 스타트업들을 발굴하고 지원하고 있다. 이와 함께 Pi 앱 스튜디오, 커뮤니티 기반 게임인 FruityPi, 그리고 새로운 NFT 서비스인 Pi 도메인 등의 다양한 툴들도 출시되고 있다.

특히 PI의 실물 결제 기능은 빠른 발전 속도를 보이고 있다.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27,000여 개의 가맹점에서 Pi 결제가 가능해졌다. 이는 암호화폐의 실제 사용 확대를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들 중에서도 두드러진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Pi 지갑에 ‘Pi 구매(Buy Pi)’ 탭이 새롭게 추가되면서 일반 법정화폐로 Pi를 직접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 이는 향후 거래소 상장 전 단계에서 유동성을 확보하고 접근성을 강화하는 데에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격 측면에서는 단기적으로 다소 불안정한 흐름이 보이지만, 강력한 사용자 기반과 확장 가능한 인프라, 그리고 실사용 확대 추세를 반영할 때 Pi 네트워크는 여전히 지속 가능한 프로젝트임을 시사한다. 앞으로의 주요 거래소 상장과 거버넌스 체계의 발전 여부가 파이코인이 1달러를 다시 돌파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을 이끌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