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PI)이 최근 7일 동안 18.3% 상승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현재 가격은 약 0.40달러(약 540원)이며, 전날 대비 5.9% 상승했다. 그러나 주간 매도의 흐름과는 달리 여전히 시장에서 높은 변동성이 지속되고 있다.
가격 동향 및 기술적 분석을 살펴보면, 지난 일요일 파이코인은 0.4661달러까지 상승했다가 이후 12% 이상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조정에 들어갔다. 현재 가격은 0.38달러에서 0.40달러 사이에서 거래되며, 일일 거래량도 약 15.8% 감소해 7천 582만 달러로 하락했다. 이러한 변화는 시장 참여 감소와 투자 심리 위축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기술적으로 주요 지지선은 0.3700달러이며, 만약 이 선이 무너지게 되면 약 10%의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다. 반면, 저항선은 0.78달러, 1.50달러, 5.00달러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범위를 상향 돌파할 경우 상승세가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MACD는 약세 신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RSI는 과매도 구간에서 반등해 단기적인 매수세 회복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0.40달러에서 형성된 더블 바텀 패턴과 1.66달러에 위치한 넥라인은 시장이 상승하면서 최대 154%의 상승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
2025년 파이 네트워크는 오픈 메인넷을 공개하여 외부 지갑 간 전송이 가능해지는 등 다양한 생태계 확장과 유틸리티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튼튼한 보안성을 위해 PASSKEY 원탭 인증과 함께 애플페이, 직불카드 기반의 법정화폐 온램프를 도입해 사용자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현재 파이 네트워크의 커뮤니티는 상승세를 이어가며 2026년까지 약 1억 명의 사용자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100개 이상의 활발한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과 강화된 KYB(사업자 인증) 시스템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그러나 1억 7천만 PI의 언락 대기 물량과 초당 1건 미만의 낮은 거래 처리 속도는 여전히 생태계 확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약 3억 5천만 PI를 보유한 대형 투자자의 존재는 향후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업비트와 같은 주요 거래소의 상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풀이되고 있다.
파이코인은 오픈 메인넷으로의 전환에 따라 분산화 및 실사용 중심 생태계 구축에 대한 의지가 뚜렷해지는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으며, 앞으로 AI 통합과 기관 투자자의 유입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2026년까지 파이코인의 가격을 0.43달러에서 5달러(약 580원~6천 700원) 사이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상장 호재 및 기술적 개발에 따라 크게 달라질 가능성이 크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31억 달러(약 4조 1천억원)로, 코인마켓캡 기준 39위를 기록하고 있다. 유통 공급량은 약 78억 2천만 PI이며, 최대 공급량은 1천억 PI로 설정돼 있다.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 시장에서 파이코인은 독특한 모바일 채굴 기반의 생태계와 커뮤니티 성장 중심으로 장기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기업 및 투자 기관의 관심을 끌어올리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