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비트코인(BTC)과 바이낸스코인(BNB)의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파이코인(PI)은 예외적으로 90%까지 폭락하며 심각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 달 가량의 기간 동안 PI는 30% 정도 급락했으며, 역사적 최고가인 3달러와 비교했을 때 현재 가격은 0.24달러로, 가치가 사실상 90% 증발한 상황이다. 이러한 현상은 파이네트워크(Pi Network)가 호황을 누리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뒤처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코인게코(CoinGecko)의 자료에 따르면, PI는 최근 사상 최저치인 0.23달러를 기록한 이후 소폭 반등하며 현재 0.2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 또한 20억 달러를 아래로 떨어져 암호화폐 시총 순위 74위에 자리 잡았다. 올해 초에는 130억 달러를 넘었으나 지금과 같은 상황은 대조적이다.
커뮤니티와 암호화폐 업계의 많은 이들은 이러한 급락이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The Times of PiNetwork’라는 X 사용자(구 트위터)는 PI 가격이 0.10달러까지 떨어질 가능성을 언급하며, 다른 사용자 또한 “오픈 메인넷 이후로 팀의 개발과 로드맵이 부재하며, 프로젝트의 방향이 불확실하다”는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들은 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좌지우지하는 일이 두 사람에게 한정되어 있으며, 탈중앙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수요는 급감했으며 온체인 사용량이 거의 없는 상태라며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고 있다.
그렇지만 PI에 대한 실낱같은 반등의 가능성도 감지되고 있다. 향후 30일 내에 잠금 해제될 예정인 물량이 1억 2,000만 개 미만으로 줄어들고 있고, 이는 시장의 매도 압력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최근 24시간 내 약 250만 PI가 중앙화 거래소에서 개인 지갑으로 이전된 것도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이는 거래소의 판매 가능 물량이 줄어들어 가격 하방 압력을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술적 차원에서도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PI의 상대강도지수(RSI)는 24까지 하락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과매도 구간으로 해석되어 향후 반등 가능성을 암시하는 지표로 받아들여진다. 반대로, RSI가 70 이상일 경우는 과열 국면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PI의 가격 상승과 생태계 회복을 위해서는 매도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개발과 소통을 위한 전면적인 개선이 필요하며, 커뮤니티의 신뢰를 회복하고 파트너십을 확대하며 탈중앙화가 실현되지 않는 한 현재의 침체를 극복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파이코인(PI)의 심각한 상황은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도전 과제가 된 것은 분명하며, 향후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