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 네트워크(Pi Network)가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대규모 암호화폐 행사인 ‘TOKEN2049’의 골드 스폰서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 행사에는 25,000명 이상의 참석자가 예상되고 있어, 파이 네트워크가 글로벌 웹3 커뮤니티와의 교류를 활발히 진행할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동 창립자인 팬 청디아오 박사가 기조 연사로 초청되어 프로젝트의 실생활 활용성과 미래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이다.
팬 박사는 이 자리에서 “블록체인과 암호화폐가 사회에 실제 어떤 효용성을 가져올 수 있는가”라는 주제로 연설할 계획이며, 웹3의 현재 과제와 기술 혁신 방향에 관한 통찰도 공유할 예정이다. 파이 네트워크 팀은 이러한 발표가 프로젝트의 인지도 확장과 커뮤니티 기반 가치 구축의 비전을 널리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TOKEN2049는 단순한 암호화폐 콘퍼런스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업계 창업자, 투자자, 개발자, 미디어 등 수많은 핵심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글로벌 이벤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 역시 300명의 연사가 발표에 나설 예정이므로, 파이 네트워크의 발표는 전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올해 초,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컨센서스(Consensus)’ 행사에서도 공동 창립자 니콜라스 코칼리스가 발표자로 나선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현재 PI 가격은 하락세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코인게코(CoinGecko)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PI 가격은 약 0.34달러(약 470원) 수준으로, 지난 한 달 동안 15% 가량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 말 잠시 반등세를 보였으나 이내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전문가들은 21일 예정된 대규모 토큰 언락이 PI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날 잠금 해제될 PI는 총 1,300만 개 이상으로, 이로 인해 장기간 거래를 기다려온 보유자들이 매도에 나설 경우 추가적인 하방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그러나 PI 팀은 일정 이후 언락 속도가 완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가격 회복의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한편, 파이 네트워크는 여전히 메인넷 전환과 실물 경제에서의 효용성 구현에 대한 의문을 받고 있으며, 가격 형성 방식 및 거래소 상장 문제 등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행사 참여를 통해 기술 비전을 확고히 하고 정당성을 입증하려는 노력을 계속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활동들은 향후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