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암호화폐 규제 체계 도입으로 글로벌 거래소 유치 나서

[email protected]



파키스탄이 최근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를 발표하면서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파키스탄 가상자산규제청(PVARA)은 서면으로 글로벌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및 가상자산 서비스 사업자(VASP)에게 국내 진출을 위해 관심표명서(EoI) 제출을 요청했다. 이는 신설된 연방 규제 체계의 첫 단계를 나타내며, 파키스탄이 디지털 금융의 중심지로 자리 잡으려는 강한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현지 주요 언론인 돈(Dawn)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EoI 제출 대상은 국제적으로 규제를 받은 기관들이 포함된다. 특히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영국 금융감독청(FCA), 유럽연합(EU) VASP 프레임워크, 아랍에미리트(UAE)의 가상자산 규제청(VARAI), 싱가포르 통화청(MAS) 등에서 인증받은 기업들에 한정된다. PVARA의 의장인 비랄 빈 사키브(Bilal bin Saqib)는 “이번 EoI는 전세계의 유력한 VASP들과 투명하고 포용적인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초대장”이라고 말했다.

제출해야 할 문서에는 회사 소개, 라이선스 발급 내역 및 해당 국가, 제공할 서비스(거래, 커스터디, 결제 등), 기술 및 보안 기준, 운용 자산 규모, 수익 구조, 컴플라이언스 성과, 파키스탄 진출 전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요구는 단순한 시장 개방이 아닌, 불법 자금 흐름을 방지하고 핀테크, 해외송금, 자산 토큰화 등 융합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이슬람 율법에 부합하는 상품 개발도 고려되고 있으며, 샤리아 적격 상품의 확대도 목표로 하고 있다.

PVARA는 2025년에 제정된 ‘가상자산 명령령(Virtual Assets Ordinance 2025)’을 바탕으로 설립된 기관으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의 규제 기준에 부합하는 감독 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파키스탄의 암호화폐 시장을 제도권 안으로 통합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나타낸다.

최근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발표한 ‘2025 글로벌 암호화폐 채택 지수’에서는 파키스탄이 세계 3위에 오르며 빠른 성장을 입증하였다. 단 한 해 만에 여섯 계단을 상승하며 신흥국 중 가장 빠른 채택률을 기록한 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런 흐름은 향후 인구 구조에 기반하여 비트코인(BTC) 등의 주요 코인의 채택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규제 개편과 글로벌 파트너 유치는 파키스탄이 지속 가능한 디지털 금융 모델을 구축하고 중장기적으로 신흥 암호화폐 허브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는 파키스탄이 암호화폐 시장의 잠재력을 키우고 글로벌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명확한 전략임을 나타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