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이 비트코인(BTC)의 사용을 확대하는 중요한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파키스탄의 암호화폐·블록체인 국무장관인 빌랄 빈 사킵(Bilal Bin Saqib)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전 세계적으로 정책 환경이 변화하고 있으며, 파키스탄도 이러한 변화에 맞춰 나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같이 변화하는 금융 환경 속에서 파키스탄은 전통적인 금융 선진국들이 겪어온 단계를 건너뛸 수 있는 ‘도약(leapfrog)’ 기회를 얻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파키스탄은 2024년 11월에 암호화폐 규제 체계를 구축할 계획으로, 이에 따라 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현재 파키스탄 내에는 4,000만 개가 넘는 암호화폐 지갑이 존재하며, 이는 암호화폐 도입률 기준으로 세계에서 다섯 번째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확산의 배경에는 압도적으로 높은 젊은 인구 비율이 있다. 파키스탄의 전체 인구는 약 2억 5,000만 명이며, 이 중 70%가 30세 이하의 젊은층이다. 사킵 장관은 “중위 연령이 20세인 나라에서 청년층만 별도로 구성해도 세계 10대 인구 대국에 해당한다”고 언급하며, 젊은 인구가 국가 경제의 중요한 자원이 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이러한 인구 통계가 차세대가 기술 중심 경제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하며, 암호화폐가 파키스탄의 디지털 경제 도약을 이끄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자금 조달의 발생 지점을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으로 전환함으로써 기존의 금융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파키스탄 정부는 향후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포함한 디지털 자산 정책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면서, 글로벌 시장과의 연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파키스탄이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경제의 효율성을 높이고, 미래의 디지털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도록 준비하고 있다는 신호로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파키스탄의 젊은 인구와 이미 널리 퍼진 암호화폐 지갑은 이 나라를 비트코인 채택의 중심지로 부상하게 하는 주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나라의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기술 발전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주목받을 것이며, 잠재적인 투자 기회로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