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트릭 맥헨리 전 의장 “혁신과 자본 형성이 소비자 보호의 해법이 될 것”

[email protected]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를 이끌었던 패트릭 맥헨리 전 의장은 “혁신과 자본 형성이 균형을 이룰 때 소비자 보호가 가능해진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했다. 그는 9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글로벌 블록체인 컨퍼런스 ‘UDC 2025’에서 디지털 자산의 미래 및 규제 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맥헨리 전 의장은 29세의 나이에 의회에 입성하여 10차례 연속으로 재선에 성공한 경력을 지니고 있으며, 그가 주목하는 가장 중요한 성과로는 2021년의 암호화폐 시장 구조 법안의 승인을 꼽았다. 이 법안은 초당적 합의로 통과된 최초의 법안으로, 미국이 암호화폐를 제도권 금융의 일부로 인정한 중대한 사건이었다고 강조했다. 당시 그는 바이든 행정부와 그 인사들이 반암호화폐 성향을 보였던 상황에서도 민주당 의원들과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합의점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맥헨리 전 의장은 민주당 의원들이 지역구 유권자들의 암호화폐 지지 현실을 반영해 점차 백악관의 반(反)크립토 기조와의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70명의 민주당 의원이 공화당과 함께 법안을 지지하는 역사적인 순간이 만들어졌다”며 현 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미국의 암호화폐 정책에 극적인 전환이 이뤄졌다고 말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업계 리더들을 백악관으로 초청하는 방식으로 암호화폐에 대한 열린 태도를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반면 바이든 행정부는 규제 집행만을 중시해 시장을 위축시켰다고 비판했다.

맥헨리는 소비자 보호와 혁신의 균형을 이루는 시스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혁신이 소비자 보호와 충돌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인식이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깊고 유동적인 시장을 만드는 것이 최선의 소비자 보호와 동시에 가장 강력한 혁신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사이버 보안과 투자자 보호 장치가 필요하지만 이것을 혁신과 대립하는 개념으로 설정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싱가포르와 아랍에미리트(UAE)는 명확한 규제를 통해 글로벌 자본을 유치하고 있으며, 이들 국가는 오랜 기간에 걸쳐 규제 시스템을 구축해왔다고 소개했다. 맥헨리 전 의장은 미국이 암호화폐 법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현재 시점이 규제당국에 강력한 신호가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 시장에 대한 전망도 밝다고 언급하며, “규제가 긍정적으로 진화한다면 한국의 암호화폐 산업도 글로벌 시장에서 큰 성과를 낼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K-팝의 성공 사례를 예로 들어 한국의 암호화폐 산업도 세계 시장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맥헨리 전 의장은 “암호화폐의 미래가 빠르게 구축되고 있으며, AI와 블록체인 기술이 결합하면서 발생할 다양한 혁신이 기대된다”며, “이는 전 세계에서 현실적인 변화를 이끌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앞으로 토큰화와 실물자산(RWA) 분야가 큰 흐름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기존 금융과 디지털 자산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