팰리서캐피털, SK스퀘어와의 관계 종료 및 지분 대폭 매각 결정

[email protected]





영국계 행동주의 펀드인 팰리서캐피털이 SK스퀘어에 대한 투자를 철회하고 지분을 비율 1% 미만으로 대폭 축소했다. 팰리서캐피털은 이전에 SK스퀘어의 이사회 구성원에 자사 직원을 추천하는 행동주의 캠페인을 펼쳤으나, 현재는 해당 캠페인을 포기하고 투자금을 회수하는 방향으로 전환한 것이다.

팰리서캐피털은 SK스퀘어에게 ‘밸류업 계획’을 강화할 것을 요구하며 주주행동주의에 나섰지만, 이후 한국 시장에서의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히 지난해 SK스퀘어가 발표한 ‘밸류업 계획’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내부적으로는 주주환원 목표를 상향할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팰리서캐피털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SK스퀘어 지분을 매각하고 주주제안권 발동의 기준인 1% 아래로 떨어뜨렸다. 이 과정에서 다른 주주들도 별도의 주주제안을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팰리서캐피털은 매각 이유에 대한 질문에 응답하지 않았다.

많은 전문가들은 팰리서캐피털이 SK스퀘어에 대해 공세를 펼친 것과 달리 1년도 채 되지 않아 이익 추구를 이유로 ‘엑시트’를 선택한 것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외국계 행동주의 펀드가 기업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한 의도를 내세우는 것이 결과적으로는 이익을 위한 수단일 뿐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팰리서캐피털이 지난해 11월 SK스퀘어와의 건설적인 관계 유지를 기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한 점과 대비되는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는 행동주의 펀드가 나타나는 성격과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으로 보이는 이미지를 유지하려는 전략 중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해외의 행동주의 펀드들이 기업가치 제고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지만, 결국에는 이익 본위로 움직인다는 점을 드러낸 사례”라고 언급하며 팰리서캐피털의 결정이 보여주는 이면을 분석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