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SOL) 기반의 밈코인 런치패드인 펌프펀이 7월의 수익이 올해 들어 최저치를 기록하며 급락세를 보였다. 디파이 분석 플랫폼인 디파이라마(DefiLlama)의 통계에 따르면, 펌프펀은 지난 7월 약 2,496만 달러(한화 347억 원)의 수익을 올렸다. 이는 올해 1월 1억 3,000만 달러(한화 1,807억 원)를 넘어섰던 정점에서 무려 80% 감소한 수준이다.
펌프펀의 수익 감소는 몇 달에 걸쳐 진행된 연속적인 추세로, 2월에는 9,000만 달러(한화 1,251억 원)로 줄어들었고, 3월에는 3,700만 달러(한화 514억 원)로 더 떨어졌다. 이후에는 4,000만 달러(한화 556억 원) 수준에서 평탄을 유지하다가 7월에 최저 수익을 기록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익 감소는 밈코인 시장 전반의 흥미 변화와 관련이 깊다. 실제로 7월 초까지만 하더라도 밈코인의 거래량과 시가총액이 급증하며 활발한 거래를 보여줬지만, 그 이후로는 빠르게 열기가 식었다. 최근 몇 분기 동안 밈코인을 발행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려는 프로젝트가 증가했으나, 최근 들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새로운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함에 따라 전체 시장의 모멘텀이 한풀 꺾인 분위기다.
펌프펀은 지난해 말부터 밈코인 생성 플랫폼으로 주목받으며 단기간에 큰 수익을 올렸으나, 그 기세를 올해까지 이어가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해 “밈코인 열풍은 대체로 강세와 약세 주기를 반복한다”며, “플랫폼의 수익성도 결국 투자자의 심리 흐름에 좌우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펌프펀의 사례는 시장 심리 변화가 암호화폐 플랫폼 수익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잘 보여준다. 현재 밈코인 시장은 단기적인 인기를 넘어서 구조적인 성장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접어들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시장의 환경 변화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투자자들은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