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이 최근 포경수술을 받은 아동이 자폐증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발언해 논란이 일고 있다. 케네디 장관은 워싱턴 D.C.에서 열린 내각 회의에서 “조기에 포경수술을 받은 아이들은 자폐증 발병률이 두 배라는 연구 결과가 존재하며, 그 원인은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복용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가 언급한 연구 결과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의료계는 케네디 장관이 특정한 두 가지 연구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첫 번째 연구는 2013년 국제학술지인 환경건강(Environmental Health)에 실린 조사로 포경수술과 자폐증 발병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포경수술 과정에서 사용되는 진통제가 위험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연구는 2015년 영국 왕립의학회지(JRSM)에 발표된 것으로, 약 34만 명의 남아를 10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포경수술받은 아동의 자폐증 발병 위험이 46~62% 더 높다고 밝혔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두 연구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주요 변수인 부모의 출생 연령, 의료 접근성, 그리고 자폐증 진단율 증가 등이 통제되지 않았으며, 포경수술을 받은 아동이 의료기관을 더 자주 이용하게 되어 진단 가능성이 높아졌을 가능성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이러한 케네디 장관의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이 태아의 자폐증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주장한 지 불과 몇 주 만에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식품의약국(FDA)에 타이레놀 제품의 라벨에 자폐증 및 뇌 발달에 대한 위험 경고를 추가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의료계는 이러한 주장들이 정치적 성격이 매우 크다고 평가하고 있다. 미국 산부인과학회(ACOG)는 “20년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복용과 자폐증 사이의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며 “적절한 용량 내에서 타이레놀은 임신부에게 안전한 해열 및 진통제”라는 입장을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럽의약품청(EMA) 또한 현재까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과학적 근거는 없다고 일축했다.
이번 발언으로 인해 포경수술과 자폐증, 그리고 타이레놀의 관계에 대한 각종 논란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향후 연구와 논의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케네디 장관의 주장이 사실일 경우, 이는 미국 아동의 건강 문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더욱 심도 있는 논의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