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HMM 인수 검토 중 … 그러나 여러 난관이 도사리고 있다

[email protected]



포스코가 HMM 인수에 대한 의향을 공식화한 가운데, 인수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여러 장벽이 존재한다. 첫째, 한국산업은행은 국책은행으로서 자산 매각 시 입찰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하며, 특정 기업과의 수의계약은 불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애물이다. 이는 국가계약법에 따라 국가가 보유한 자산은 일반적인 경쟁 절차를 통해 거래해야 한다는 원칙에서 기인한 것이다.

이러한 법적 장치와 더불어, 화주 기업이 해운사를 인수하게 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이해충돌 문제 또한 주요 논란거리가 될 전망이다. 예를 들어, 인수 기업이 자신에게 유리한 운임을 설정하거나 경쟁사에게 불리한 조건을 강요할 수 있으며, 이는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상황은 운임 시장의 공정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해운 산업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HMM은 단순 민간기업과는 달리 공공의 이익이 크게 작용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특정 화주가 HMM을 인수할 경우 해운 산업의 균형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국가의 전략적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글로벌 해운사인 머스크나 MSC와 같은 기업들은 가문 또는 재단 중심의 소유 구조를 갖추고 있어, 다양한 화주에게 공정하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2023년 HMM 매각이 추진된 당시에도 대형 화주 기업들은 인수전 참여를 공식적으로 꺼렸다. 매각 초기에는 현대차그룹이나 삼성물산과 같은 대기업이 인수할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결과적으로 실제 참여한 기업은 SM그룹, 하림그룹, LX그룹 등 비교적 중소규모의 기업들이었다.

산업은행 내부의 관계자는 “현재 산업은행이 대규모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라고 언급하며, HMM의 향후 인수 진행에 대한 불확실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포스코가 HMM 인수에 대해 어떤 결정을 내릴지는 전 세계 해운 시장의 큰 이목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포스코가 HMM 인수에 성공할 수 있을지는 법적 제약과 이해충돌 문제 등 여러 복잡한 요소에 달려 있으며, 이로 인해 해운 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반응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포스코의 HMM 인수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