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자동차 제조업체 폭스바겐그룹이 2023년 2분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36%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 감소는 미국에서 부과된 새로운 자동차 품목관세로 인해 발생한 막대한 비용이 주된 원인이다. 올해 4월부터 적용된 이 관세로 인해 폭스바겐은 약 2조원의 비용을 추가로 부담하게 되었다.
폭스바겐그룹은 25일(현지 시간) 발표한 실적보고서에서 2분기 영업이익이 38억3400만 유로(약 6조22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29.4% 줄어들었고, 순이익은 22억9100만 유로(약 3조7100억원)로 36.3%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영업이익률도 지난해 2분기의 6.5%에서 올해는 4.7%로 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상승세를 보이는 다른 시장과는 대조적으로, 미국 시장에서 판매량이 16%, 중국에서 3% 각각 감소한 것과 관련이 깊다.
미국에 수출되는 유럽산 자동차는 4월부터 기존 2.5%에 25%의 새로운 품목관세가 더해져 총 27.5%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이러한 정책은 일본과는 대조적으로, 일본은 최근 미국과의 무역협상을 통해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는 성과를 거둔 반면, 유럽은 아직 협상이 진행 중이다. 폭스바겐을 포함한 독일 자동차 업계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 내 생산량을 늘리고, 이로 인해 다른 나라로 수출되는 물량에 대해 관세 면제를 요청하고 있다. 특히 아우디는 현재 미국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폭스바겐의 아르노 안틀리츠 CFO는 콘퍼런스콜에서 “관세가 지속적인 비용 부담으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며 “그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폭스바겐뿐만 아니라 전체 독일 자동차 산업에 대한 심각한 경고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결국, 미국의 품목관세는 폭스바겐뿐만 아니라 타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들에게도 전반적인 비용 증가라는 도전을 가져오는 중대한 사안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고, 각국의 정책 변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