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폴리곤은 인도의 4억 5천만 지오 사용자에게 블록체인 접근성을 제공하며, 웹3의 주류 채택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속도, 확장성, 저렴한 비용을 균형 있게 유지하려고 하며, 탈중앙화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폴리곤은 인도 최대 통신사인 지오(지오 플랫폼은 인도의 가장 부유한 사업가인 무케시 암바니의 소유)와 협력하여 기존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 이들은 지오스피어 웹 브라우저에 블록체인 기반 기능을 추가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폴리곤의 공동 창립자인 산딥 나일왈(Sandeep Nailwal)은 “우리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대규모 파트너를 온보딩하고 블록체인을 주류로 끌어버리고 있지만, 이러한 성장과 함께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책임이 있다”고 Cointelegraph와의 인터뷰에서 강조했다. 그는 확장성과 탈중앙화가 반드시 상충하지 않으며, 폴리곤이 각 원리에 충실함으로써 안전성, 투명성, 탈중앙화를 유지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폴리곤은 제로-지식(Zero-Knowledge) 기술에 대규모로 투자하여 생태계 전반에서의 확장을 보다 원활하게 만들어갈 계획이다. 나일왈은 “우리의 목표는 개발자와 사용자가 믿음을 잃지 않고 더 빠르고 저렴한 거래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렴한 수수료, 빠른 거래, 탈중앙화 보안이 결합된 결과, 폴리곤은 이미 다양한 웹3 사용 사례를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폴리곤 PoS에서의 스테이블코인 결제와 주요 기관과의 실제 자산 토큰화 등이 포함된다.
그는 “가장 큰 도전은 블록체인을 웹2처럼 매끄럽고 접근 가능하게 만들면서도 블록체인의 특성을 훼손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ZK 기술과 애그리게이터(Agglayer)에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우리가 생태계를 신뢰할 수 있고 상호 운용 가능하게 유지하면서도 확장시킬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나일왈은 4억 5천만 사용자를 온보딩하는 데 있어서 일률적인 접근이 효과적이지 않다고 언급하며, 지오와 밀접하게 협력해 사용자에게 진정으로 의미 있는 실제 사용 사례를 개발하고, 단계적으로 사용자들을 체인에 온보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개발자들이 폴리곤의 인프라를 통해 블록체인의 핵심 가치를 저버리지 않고도 확장할 수 있음을 자부하고 있다.
“가장 흥미로운 점은 블록체인에 대한 기술적인 논의를 넘어 실제 사람들을 위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제 사용 사례가 다음 단계의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그는 전했다.
마지막으로 나일왈은 “우리는 단순히 기술을 넘어, 수십억이 사용할 수 있는 탈중앙화된 미래를 만드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것은 엄청난 도전이자 동시에 가장 흥미로운 일”이라고 덧붙이며, 블록체인 기반의 진정한 혁신을 위한 비전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