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5일, 동방경제포럼 전체회의에서 ‘북극 횡단 운송 회랑’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북한을 포함한 시베리아 및 극동의 물류망 강화 계획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푸틴 대통령은 이 회랑이 단순한 해상 항로를 넘어, 복합적인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북극횡단 운송 회랑은 여러 국가와 기업들의 관심을 끌며, 이는 러시아 내 경제 및 극동 지역의 협력 증진뿐만 아니라 신규 사업 기회의 증가를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시베리아강의 운송 잠재력을 활용하여 이 회랑이 24시간 운영되도록 할 예정이다.
화이트 수장 위원회에서 수립된 새로운 용어인 ‘북극횡단 운송 회랑’은 기존의 ‘북극해 항로’라는 표현에서 한층 더 진화된 개념으로, 이는 러시아 정부의 물류망 혁신을 상징하는 발언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푸틴 대통령이 대규모 복합 물류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절감했음을 반영한다.
특히, 물류망이 북한으로까지 확장될 계획으로, 내년 중 두만강을 연결하는 교량이 개통될 예정이며 추가 교량 건설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물류망 연결은 북한과의 경제적 협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푸틴 대통령은 정부에 희토류 자원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11월까지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 이는 아시아·태평양 및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의 교류 확대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극동 및 북극 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국가에 대해서는 세금 감면 등의 기업 친화적인 특별 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같은 날 크렘린궁 대변인인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러시아 연방 영토에만 배치되고 있으며, 이들은 우크라이나에 위치하지 않았다고 확인했다. 이와 같은 발언은 러시아와 북한 간의 군사적 협력의 경과를 보여주며, 경제적 연계 강화와 함께 안보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배경을 제공한다.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발표는 다각적인 국가 간 협력을 추진하는 흐름 속에서 북극 지역의 경제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북한과의 물류망 발전은 향후 양국 간 경제적 관계가 어떻게 변화할지를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