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회담 준비가 됐다면 모스크바로 오라고 제안했다. 푸틴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에서 기자회견을 열면서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그는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양자 회담이 가능하다고 언급하며, 그가 준비된다면 반드시 모스크바에서 회담을 진행할 것이라고 აღნიშნა.
푸틴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에게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회담이 가능한지 물었을 때, 이처럼 대답했다고 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갈등 해결을 위해 푸틴 대통령과의 대면 회담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은 필요 시 올해 이미 진행했던 세 차례의 직접 협상에서의 대표급을 조정할 의향이 있지만, 현재 협상 단장인 블라디미르 메딘스키 보좌관의 역할에 만족한다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 측의 반응도 즉각적이었다.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푸틴 대통령의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는 모두를 농락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여러 국가들이 회담 개최에 동의하며, 젤렌스키 대통령이 이를 언제든지 수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을 ‘행정 수반 대행’이라고 언급하며, 그의 대통령직 수행이 계엄 상황을 이유로 지속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행정부 수반 대행과의 회의는 의미가 없다”며, 적절히 준비된 회담이라면 이를 거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크라이나 영토 문제의 해결은 국민투표를 통해야 하며, 이 경우 계엄령이 해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 문제에 대해 “모든 국가는 자신들의 안전 보장을 선택할 권리가 있다. 그러나 러시아와 같은 국의 안보를 희생하는 방식의 안전 보장은 허용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최근 중국 방문 중의 대화에서 우크라이나의 안전 보장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영토를 대가로 삼는 방안은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하여 그는 “문제 해결의 터널 끝에는 빛이 있다”며 긍정적인 해결 가능성을 언급했으나, 평화 협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군사적 해결을 피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현재 러시아군이 전선에서 전진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군의 대규모 공세 능력 부족으로 인해 방어에 집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을 ‘반미 작당모의’에 연루됐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유머로 받아들이며, 자신의 좋은 관계를 강조했다. 그는 독일 총리로부터 전쟁 범죄자로 헐뜯는 발언에 대해 이는 우크라이나의 비극에 대한 책임 회피를 위한 실패한 시도라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와 중국이 진행한 ‘시베리아의 힘2’ 가스관 프로젝트에 관한 협정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를 통해 연간 1000억㎥ 이상의 가스를 중국에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