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모듈형 이더리움 레이어2(L2) 네트워크 프로젝트 맨틀(Mantle)이 자생적 생태계 구성을 위한 통합 전략을 추진하면서 온체인 금융 스택을 완성하는 데 가속도를 내고 있다. 알레아 리서치(Alea Research)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맨틀은 고성능 롤업 인프라와 DAO 기반 금융 상품을 융합해 MNT 토큰을 중심으로 한 자급자족 생태계 구축을 속행하고 있다. 통합된 DAO 생태계 아래에서 모든 인프라, 제품, 그리고 거버넌스를 아우르는 전략은 맨틀의 네이티브 거버넌스 자산인 MNT의 가치를 강화하는 주된 요소로 작용하며, 뚜렷한 네트워크 성장과 함께 유의미한 토크노믹스와 운영 전략적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맨틀은 초기 비트다오(BitDAO)와의 통합을 통해 출범하였고, 현재 네트워크 인프라(L2 네트워크)에서부터 디파이 수익 프로토콜(mETH), 기관형 토큰화 펀드(MI4), 비트코인 래퍼(FBTC), 스마트 뱅킹 앱(UR), 그리고 AI 이니셔티브(MantleX)에 이르는 6가지 ‘혁신 기둥’을 통해 완벽한 금융 스택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OP 스택 기반의 EVM 호환 L2 네트워크는 최신 업그레이드에 ZK 유효성 증명 시스템을 통합하여 기존 대비 트랜잭션 최종성을 168배 단축하는 데 성공했다. 알레아 리서치는 이를 통해 맨틀이 경쟁 L2들과의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UX)과 수수료 효율성을 강조할 수 있게 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데이터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EigenDA 시스템을 통합한 맨틀 네트워크는 탈중앙화 실현을 위한 시퀀서 로드맵을 확립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는 단일 시퀀서를 사용 중이나, 이 구조의 장기적 중앙화 위험을 인식하고 구조 전환을 계획 중이다. 데이터 효율성과 ZK 도입으로 인해 비용 구조의 안정화와 빠른 처리 속도가 경쟁 우위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맨틀의 총 예치 자산(TVL)은 2025년 3억 달러 근처로 수렴이나, 디파이 프로토콜의 실제 사용 기반을 넓히고 있다.
MNT 토큰은 생태계 내 모든 활동의 연료 역할뿐 아니라, 이더리움에서의 가스 토큰, 재무 행사 및 거버넌스 권한까지 아우르고 있으며, 공급량은 62억 개로 고정되어 있다. 약 51%가 유통되고, 49%는 DAO 재무부가 관리하고 있다. 특히, 맨틀 재무부는 62억 달러 규모의 자산을 관리하며, mETH, MI4, FBTC 등 주요 프로토콜 출시에 초기 자금을 활용하고 있고, 에코펀드 조성 등을 통해 사용자 유입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MI4에는 4억 달러라는 초기 자금이 투입되어 자산운용 규모를 빠르게 확대하였다.
맨틀은 바이비트(Bybit)와의 유기적 통합을 통해 네이티브 사용처를 확보하고 있다. 수수료 결제, VIP 등급 시스템, 플랫폼 내 Earn 프로그램, 결제 카드 및 법정화폐 전환 등 다양한 바이비트 기능에서 MNT가 기본 자산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는 MNT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실사용 기반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알레아 리서치는 이 점을 기존의 $BNB 모델과 유사한 거래소 기반 유틸리티 루프라고 평가하며, 맨틀의 토크노믹스에 강력한 플라이휠 효과를 제공한다고 분석했다.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인 mETH는 L1 이더리움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L2 유동성을 심화시키는 주된 자산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현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