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정부가 재정 안정과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며 국가의 공휴일을 두 일 줄이자는 제안을 내놓은 가운데, 프랑스인의 84%가 이에 반대 의견을 나타냈다. 여론조사 결과, 국민 대다수는 공휴일 수가 적다고 느끼며, 정부의 긴축 정책에 반발하고 있어 부정적인 민심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프랑수아 바이루 총리는 지난 7월 내년도 예산안을 발표하며 부활절 월요일과 제2차 세계대전 승전 기념일인 5월 8일을 공휴일에서 삭제하자는 뜻을 밝혔다. 그는 해당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지금 개혁하지 않으면 그리스와 같은 재정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부는 공휴일 축소를 통해 연간 약 42억 유로(약 6조7000억원)의 세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국민의 반감이 커지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공휴일 이틀 폐지에 반대한 응답자 중 80%는 “프랑스의 연간 공휴일인 11일은 결코 많지 않다”고 답했다. 또한, 59%는 “더 많이 일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많은 이들이 이번 조치를 “변형된 증세”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는 국민이 추가 근무를 통해 정부의 재정을 보충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러한 여론은 정부의 긴축 조치가 사회적 불만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오독사의 가엘 슬리만 대표는 “프랑스 국민은 개인과 직업 생활의 균형을 중요시하며, 공휴일 삭제 조치는 폭력적인 피해로 인식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는 “프랑스인들은 더 많은 일을 하거나 추가 세금을 내는 것을 원하지 않으며, 공휴일 이틀의 삭제는 사회적 불만을 일으킬 수 있는 불공정의 상징”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바이루 총리는 정부의 정책을 설명하기 위해 하반기 예산 정국과 관련된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며, 야당은 예산 기조를 수정하거나 철회하지 않으면 불신임안을 추진하겠다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5월 8일의 공휴일 제외에 대해서는 “역사적 망각”이라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프랑스 정부의 공휴일 축소 계획은 심각한 재정 상황에서 비롯된 긴축 정책의 일환으로, 현재 프랑스 국가 부채는 GDP의 114%에 달하며, 재정적자는 GDP의 5.8%에 이른다. 이러한 수치는 유럽연합(EU)이 정한 3% 기준을 크게 초과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2024년까지 국가 부채를 4.6% 수준으로 낮추고, 2029년까지 이 수치를 3% 이하로 줄이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