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델리티, 비트코인(BTC) 금 및 주식과 함께 최상위 자산으로 평가

[email protected]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의 글로벌 거시 전략 책임자 유리엔 티머(Jurrien Timmer)는 비트코인(BTC)의 투자 성과가 금과 글로벌 주식과 나란히 최상위에 위치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언급하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는 미국 경제 구조와 인공지능(AI) 중심으로 성장하는 기술주들이 비트코인에 대한 긍정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티머는 비트코인의 가장 큰 장점인 ‘희소성’을 강조하며, 이 특성이 약화되는 법정화폐의 구매력을 보완해주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현재 미국의 재정적 주도성과 AI 중심의 대형주 강세는 비트코인을 포함한 위험자산의 반등을 지지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다. 예를 들어 올해 초에 비트코인이 금 대신 주된 자산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제시되었으나, 최근 금의 성과가 여전히 비트코인을 웃돌고 있다는 사실이 관찰된다. 실제로 금 가격은 최근 온스당 3,650달러를 초과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투자자들이 연내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한편, 비트코인은 한때 신고가를 기록하며 금과의 ‘균형 상태’에 들어섰다고 분석되었으나, 이 후 가격 조정을 겪기도 했다. 티머는 이러한 흐름이 장기적인 투자 주기의 중반 국면에 해당한다고 강조하며 낙관적인 전망을 유지했다. 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완화(QE)를 재개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 과정이 비트코인과 금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조언을 전했다. 전통적인 경제 흐름에서 중앙은행의 유동성 확대는 화폐가치 하락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희소자산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비트코인의 ‘반감기 사이클’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기관 투자자의 유입으로 인해 기존 개인 투자자가 주도해온 사이클 구조가 약화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나, 티머는 비트코인이 여전히 네트워크 성장성과 ‘하드머니’로서의 특성이 강하게 유지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이러한 고유 특성 덕분에 4년 주기의 가격 사이클을 계속 따를 것이라는 분석이다.

결론적으로, 그는 금의 위치가 굳건한 상황에서도 비트코인이 글로벌 자산 시장에서 점점 더 중요한 존재로 자리 잡고 있으며, 금과의 경쟁보다는 공존을 통한 발전의 국면이 더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결국 향후 미국 연준의 정책 변화와 기관 자금의 지속적인 유입 여부가 비트코인의 미래 흐름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