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암호화폐에 대한 지지를 공식적으로 발표하면서, 암호화폐 특히 비트코인(BTC)의 비판론자인 피터 시프가 이를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시프는 비트코인을 ‘폰지 사기’로 규정하며 미국이 실질적인 산업을 발전시키기보다는 투기에 치우친 길로 나아가고 있다고 경고했다.
금 투자의 옹호론자로 알려진 시프는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겨냥해 “중국이 실물 산업의 1위를 노리는 동안 미국은 폰지 사기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는 암호화폐 산업을 ‘100% 지지’하며 미국을 ‘전 세계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는데, 이는 주요 경쟁국인 중국보다 앞서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프는 트럼프의 이러한 접근이 실질적인 경제 강국으로서의 전략과는 동 떨어진 것이라고 비판했다. 시프는 비트코인의 기업 매입이나 국민연금 편입을 ‘피라미드 꼭대기에 세운 폰지 사기’로 묘사하며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는 한 비트코인의 미래는 어둡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비트코인 비판자와의 공개 토론을 제안하여 비트코인이 ‘미래의 화폐’라는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할 뜻을 내비쳤다.
시프는 오랜 세월 암호화폐에 회의적인 입장을 고수해왔으며, 이번에도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는 점을 비꼬았다. 보도 당시 비트코인은 약 10만 4,000달러(약 1억 400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일주일 동안 8% 이상 하락했다. 그는 “비트코인 투자자들은 현실을 외면하고 있다. 이제는 튤립 바람을 느끼며 깨어나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비트코인 옹호자들은 이에 반박하며 시프의 금 선호 또한 단순한 투자 선택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가 2011년 이후 발표한 237건의 비관적 예측이 모두 빗나갔으며, 그 사이 비트코인 가격이 1,000,000% 이상 상승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프는 여전히 비트코인이 ‘약세장’에 있으며, ‘디지털 금’이라는 평가는 정당하지 않다고 계속 주장하고 있다. 그는 금의 내재가치와 역사적 안정성에 비해 비트코인은 지나친 투기성과 변동성을 지니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적극적인 암호화폐 지원이 향후 정책적으로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그러나 트럼프가 중시하는 비트코인을 둘러싼 다양한 입장들은 미국 내 암호화폐 규제 및 제도화 방향에 significant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은 투자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에게 큰 관심을 끌고 있으며, 앞으로의 동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할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