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억만장자 투자자 피터 틸이 인공지능(AI) 분야의 투자 거품 심화 우려 속에서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각했다. 틸이 운영하는 틸 매크로 펀드는 지난 7월부터 9월 사이 총 53만7742주의 엔비디아 주식을 처분했으며, 이는 약 1억 달러, 즉 약 1460억원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틸은 엔비디아 외에도 테슬라의 보유 지분을 기존 27만2613주에서 6만5000주로 대폭 줄인 반면, 애플 주식은 7만9181주, 마이크로소프트(MS) 주식은 4만9000주를 새롭게 매수하였다.
특히, 엔비디아의 전량 매각 결정은 AI 투자 과열과 기술주 고평가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투자자들은 AI 개발에 필요한 막대한 자본 지출이 결국 지속적인 높은 수익성으로 이어질 것인지를 두고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엔비디아는 최근 시가총액 5조 달러를 기록하며 전 세계 최초의 5조 달러 기업에 등극하였고, 이로 인해 월가에서는 “AI 투자가 이미 정점을 찍은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 소프트뱅크도 지난달 58억3000만 달러, 약 8조5160억원 규모의 엔비디아 지분을 전량 매각한 바 있다. 이러한 매도 행렬은 개인 투자자들뿐만 아니라 기관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이어지고 있어, AI와 관련된 기업에 대한 신뢰도와 투자 의욕이 감소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의 예언자로 알려진 투자자 마이클 버리도 엔비디아와 팔란티어에 대한 공매도 포지션을 공개하며, 상황의 심각성을 경고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AI 프로젝트가 진정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 속에서 주식을 정리하고 있는 양상이다. 투자자들은 초기의 낙관적인 전망과 달리, AI 기술의 상용화가 반드시 높은 수익성을 보장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AI 시장의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이와 같은 매도 행렬은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결국, PI터 틸의 전량 매각과 일본 소프트뱅크의 대규모 지분 처분 사례는 AI 투자 시장의 버블 붕괴 가능성을 암시하는 중요한 신호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극단적인 변화가 향후 기술주에 미칠 파장에 대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이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