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버드대학교가 블랙록의 iShares 비트코인 트러스트 ETF(IBIT) 보유량을 4억 4,200만 달러(약 5,907억 원)로 확대하면서, 비트코인 ETF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투자는 하버드의 대학 기금 포트폴리오 내에서 최대 규모의 보유 자산으로, 3분기 동안의 가장 큰 투자 확대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최근 전체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ETF 시장에서 이탈하고 있는 추세와 대조적이다.
하버드대학교의 주요 포트폴리오에서 이전에 상위 자산이었던 마이크로소프트($MSFT)와 아마존($AMZN) 주식은 각각 3억 2,200만 달러(약 4,308억 원)와 2억 3,500만 달러(약 3,142억 원)에 불과해 하버드의 비트코인 ETF 투자로 자리를 내주었다. IBIT는 현재 세계 최대의 현물 비트코인 ETF로, 순자산 규모(AUM)만 800억 달러(약 10조 7,200억 원)를 초과하며, 피델리티의 경쟁 상품인 Wise Origin 비트코인 펀드(FBTC)보다는 약 4배 큰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하버드는 IBIT 보유자 중에서도 열여섯 번째로 많은 지분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전체 대학 기금의 약 21%를 이 ETF가 차지하고 있다. 이는 하버드대학교와 같은 보수적인 자산 운용을 하는 기관이 현물 ETF에 이렇게 집중하는 사례가 드물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블룸버그 ETF 애널리스트인 에릭 발추나스는 이를 ‘현물 ETF에 대한 최고 수준의 검증’으로 묘사하며, 하버드대학교가 ETF 투자를 선택했다는 사실이 시장에 강력한 신뢰 신호를 줬다고 분석했다.
이번 투자 확대는 최근 암호화폐 ETF에 대한 부정적인 분위기와 stark contrast를 이룬다. 올해 11월 13일, 비트코인 ETF 시장에서는 8억 6,600만 달러(약 1조 1,569억 원)가 유출되는 상황이 발생했으며, 이는 올해 들어 두 번째로 큰 이탈 규모로 기록되고 있다. 에테리움(ETH), 리플(XRP), 라이트코인(LTC), 솔라나(SOL) 기반 ETF들도 전반적으로 침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기관 투자자들 사이에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하버드의 결정은 이례적이면서도 전략적인 신호를 내포하고 있다. 단기적으로 비트코인 현물 ETF 시장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금 운용기관들이 여전히 비트코인의 가치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통찰력 있는 전례가 될 것이다. 하버드대학교의 블랙록 비트코인 ETF에 대한 비중 확대는 앞으로의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