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학교, 7천억 원 벌금으로 정부와 합의 예정

[email protected]



하버드대학교가 반유대주의 문제에 대한 대처가 미흡했다는 비판에 따라 약 7000억원에 달하는 벌금을 지불하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합의에 이르렀다는 보도가 전해졌다.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은 이를 “리더십의 실패”로 규정하며, 앨런 가버 하버드 총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하버드는 향후 수년에 걸쳐 5억 달러, 즉 약 6900억원을 직원 및 직업 프로그램에 지원하기로 한 합의안을 두고 최종 협의 중이다. 하버드가 지불할 벌금은 기존의 합의 중에서 가장 큰 규모로, 최근 2억 달러에 합의한 컬럼비아대학교보다도 훨씬 많은 금액이다. 만약 합의가 최종 확정되면,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동결해온 연방 연구지원금 지급을 재개하고, 대학 관련 법 위반 조사를 중단할 예정이다.

하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쟁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서명한 행정명령을 통해 모든 대학에 입학 관련 자료를 제출하도록 요구한 바 있다. 브라운대학교와 컬럼비아대학교는 이 조치에 동의했지만, 하버드대는 이를 과도한 개입으로 간주하고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그의 집권 초기부터 하버드 및 기타 명문 대학들에 대해 친팔레스타인 시위를 허용하고, 다양성과 포용성(DEI) 정책을 도입하는 진보 성향의 학교들에 대한 연방 지원을 단계적으로 중단해왔다. 이 과정에서 하버드대학교는 외국인 유학생 등록에도 영향을 받게 되었으며,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는 하버드대에 수백건의 연구 보조금 지급을 취소한 바 있다.

뉴섬 주지사는 이날 SNS 엑스(구 트위터)를 통해 “하버드는 항복을 선택한 것처럼 보인다”며 하버드 총장에게 사퇴를 촉구했다. 그는 “국가 고등교육 전반에 실질적이며 중대한 영향을 미친 명백한 리더십의 실패”라며 가버 총장이 부끄러워해야 할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

하버드대학교의 이러한 결정은 그동안의 대학 운영 방식과 정부의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합의가 진행됨에 따라, 하버드는 더 이상의 법적 문제에 직면하지 않고, 안정적인 환경 속에서 연구 개시와 계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