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비트코인에 1,622억 원 투자…블루칩과 나란히 포트폴리오 편입

[email protected]



하버드대학교가 비트코인(BTC) 투자에 본격적으로 나섰다는 소식이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발표에 따르면, 하버드 매니지먼트 컴퍼니(HMC)는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인 iShares Bitcoin Trust(IBIT)의 지분 190만6,000주를 보유하고 있다. 이 투자 규모는 약 1억 1,667만 달러, 즉 1,622억 원에 달하며, HMC 전체 미국 상장 자산 포트폴리오의 약 8%를 차지하고 있다.

하버드의 전통적인 투자 철학을 감안할 때, 이들이 블루칩 중심의 포트폴리오 안에 비트코인을 포함시킨 것은 주목할 만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보고서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FT) 약 3억 1,000만 달러(약 4,309억 원), 아마존(AMZN) 약 2억 3,500만 달러(약 3,267억 원), 메타(META) 약 1억 2,000만 달러(약 1,668억 원), 엔비디아(NVDA) 약 1억 400만 달러(약 1,446억 원)와 같은 대형 기술주와 함께 비트코인이 명시되어 있어 그 중요성이 한층 부각되고 있다.

특히 눈여겨봐야 할 점은 HMC가 금보다도 비트코인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같은 기간 동안 보유한 SPDR 골드 트러스트의 지분 가치는 약 1억 200만 달러(약 1,417억 원)로, 이는 비트코인의 투자액에 미치지 못한다. 이는 하버드가 디지털 자산을 기존 안전자산보다 높은 가치의 자산군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하버드는 이미 이전부터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관심을 보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8년에는 암호화폐 전문 벤처펀드에 투자하였고, 2019년에는 스택스(STX) 토큰 세일에 참여한 정황이 SEC 문서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2021년에는 거래소 계정을 통해 직접 비트코인을 매수한 사례도 보도된 바 있다.

그동안 하버드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노출은 간접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이번에 IBIT를 통해 공식화되었다. 이는 이번 투자가 단순한 테마 접근이나 탐색적 시도가 아니라 비트코인을 정식 자산 배분 전략에 통합하였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이는 제도권 자본이 암호화폐를 정식 재무적 자산으로 인정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흐름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버드의 13F 보고서는 미국 내 상장 증권에 한정된 자료이기 때문에 HMC 전체 포트폴리오의 일부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이 이번 분기 보고서에서 상위 자산으로 등장한 것은 하버드의 암호화폐 투자 전략이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서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분명하게 나타내고 있다. 하버드대학교는 이제 비트코인을 투자 포트폴리오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삼고 있으며, 앞으로의 동향이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