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최대 5억달러 벌금 지불 의향…트럼프 정부와 협상 중

[email protected]



하버드대학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갈등 속에서 최대 5억달러(약 6959억 원)의 벌금을 지불할 의향을 보였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이는 반유대주의 문제와 관련된 민권법 위반으로, 협상이 타결된다면 하버드대학은 한동안 지속된 갈등에서 사실상 항복을 의미하는 것이다.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현재 하버드대와 미연방 정부 간의 협상에서 재정 조건을 논의하고 있지만 직접적인 금전 지급 행위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전해졌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갈등으로 인해 반이스라엘 정서가 미국 대학 캠퍼스 내에서 증가하게 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였다. 그는 대학 내 반유대주의 사례를 문제 삼아 하버드 포함, 약 60개 대학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해왔다. 이와 함께 하버드대학교에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 정책을 폐기하라는 압박과 함께 입학 및 고용 절차에 대한 정부의 영향력을 강화하도록 요구하였다. 하지만 이 요청은 하버드 측의 거부로 이어졌고, 정부는 외국인 유학생 퇴출과 연방 지원금 중단, 정부 용역 계약 해지 등의 압박을 더욱 강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하버드대가 유대인 학생들에 대한 위협을 방치했다는 이유로 민권법 위반 통지서를 발송하며 추가적인 갈등을 유발했다. 이에 하버드대는 최근에 컬럼비아대가 비슷한 협상을 통해 2억달러(약 2778억 원)의 벌금을 지불하고 연방 지원금을 되찾은 사례를 참고하고 있다. 그러나 하버드 측은 자신들이 제시한 벌금이 과도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정부가 이미 요구해온 금액은 컬럼비아대의 2배를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YT는 이번 협상에서 하버드대가 반대하고 있는 ‘외부 독립 감시인 허용’ 조항이 학문의 자유 침해로 문제 삼고 있음을 언급했다. 하버드대 관계자들은 법적 싸움에서 이기더라도 결국에는 트럼프 임기 중 추가적인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 상호 합의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협상은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지만, 대학 측의 의구심은 여전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부와의 논의 중 하버드가 보여주는 태도가 여전히 굳건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며, 대학 측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 대학의 동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