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한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트레이더가 약 40만 달러(한화 약 55억 6,000만 원)의 단기 손실을 기록하며, 플랫폼 내 최대 손실 고래로 자리매김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해당 트레이더는 과도한 레버리지를 활용한 투기를 반복하여 지난 한 달 동안 심각한 손실을 경험했다.
가장 큰 손실은 하이퍼리퀴드(HYPE) 토큰에서 발생했다. 이 투자자는 해당 토큰의 반등 직전, 약 90만 개를 매도하여 약 4,000만 달러(한화 약 556억 원) 상당의 손실을 입었다. 그 다음으로 이더리움(ETH) 포지션에서도 약 3,500만 달러(한화 약 486억 5,000만 원)의 손실을 기록했으며, 이후 숏 포지션으로 전환했으나 이로 인해 추가적으로 61만 4,000달러(한화 약 8억 5,000만 원)의 손실을 가져왔다.
하지만 이 트레이더의 고난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현재 그가 보유한 비트코인(BTC) 포지션은 약 200만 달러(한화 약 27억 8,000만 원)에 달하는 미실현 손실 상태로, 그의 누적 손실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형세다. 하이퍼대시(Hyperdash)의 데이터에 따르면, 해당 트레이더의 지갑은 단 한 달 만에 3,950만 달러(한화 약 548억 5,000만 원) 이상이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해당 트레이더는 여전히 1억 5,200만 달러(한화 약 2,112억 원) 규모의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기서 활용된 레버리지는 무려 29배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극단적인 투자 행위가 시장의 비효율성을 여실히 드러내는 동시에, 파생 상품 시장에서의 과도한 레버리지 사용의 위험성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투자자들에게 레버리지 사용의 위험과 함께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의 신중한 접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우는 경고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HYPE, 이더리움, 비트코인 등 주요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손실은 이와 같은 투자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재확인시켜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