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가 독자적인 레이어1 블록체인 출범 1년 만에 탈중앙화 파생상품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지난 7월에 약 3,308억 달러(약 459조 원)의 거래량을 기록했다. 이로써 하이퍼리퀴드는 일시적으로 로빈후드($HOOD)의 거래 규모를 초과하게 되었다. 특히 11명의 소규모 팀이 이룩한 성과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하이퍼리퀴드는 커스텀 레이어1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영구계약 거래소로 설계되어, 중앙화 거래소(CEX)와 견줄만한 빠른 거래 속도를 자랑하면서도 모든 거래의 보관과 실행을 온체인에서 처리해 보안성과 효율성을 함께 확보하고 있다. 특히, 분리체인(split-chain) 구조를 채택하여 하이퍼코어(HyperCore)와 하이퍼EVM(HyperEVM)이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거래 실행을 최적화하고 있다.
하이퍼리퀴드 네트워크는 하이퍼BFT라는 지분 증명(PoS) 기반 합의 알고리즘으로 보호되어, 일관된 거래 순서를 유지하며 안정성을 높였다. 하이퍼EVM은 지난 2월 18일 메인넷에 출시되어 스마트 계약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고, 플랫폼의 확장성과 사용자 맞춤형 프로그래밍을 지원하고 있다. 실제로, 하이퍼리퀴드는 0.2초의 미디언 거래 지연 시간과 최고 20만 TPS(초당 거래 처리량)를 기록해 주요 CEX와 경쟁할 수 있는 성능을 자랑하고 있다.
7월 동안의 거래량 역시 하이퍼리퀴드의 아낌없는 성장을 보여준다. 디파이 집계 플랫폼인 디파이라마(DefiLlama)에 따르면, 하이퍼리퀴드의 영구계약 거래량은 약 3,190억 달러(약 443조 원)에 달하며, 이는 전체 디파이 영구계약 거래량 4,870억 달러(약 676조 원) 중 절반에 해당하는 수치로, 전월 대비 34%의 증가율을 보였다. 기존 로빈후드의 총 거래 규모인 약 2,378억 달러(약 330조 원)를 넘어서며, 업계에 남다른 임팩트를 남겼다.
더욱이, 하이퍼리퀴드는 최근 3개월 연속으로 로빈후드를 초과하는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어 이는 단발성이 아닌 지속적인 성장세임을 보여준다. 신규 사용자 확보를 위해 대규모 에어드롭과 팬텀 지갑(Phantom Wallet) 통합을 실행했으며, 생태계 자립을 위한 운영 기금도 자체적으로 확보하여 사용자 유치와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거래자와 마켓메이커, 토큰 보유자 간의 인센티브를 일치시키는 HLP 금고와 지원 펀드의 바이백 구조는 플랫폼 내에서 특별한 선순환을 생성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성공은 단순한 디파이 거래소의 약진을 넘어, 탈중앙화 모델이 이미 기존 중앙화 시스템과 경쟁할 수준에 도달했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가진다. 디파이 분야에서는 기술 혁신과 구조적 실험이 실질적인 거래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