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리퀴드(HYPE)가 거래소에 상장된 이후 첫번째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최근 16시간 이내에 고래 투자자들이 약 334억 원 상당의 대규모 매수를 단행하며 이 토큰의 가격을 대폭 상승시켰고, 거래량 또한 급증하면서 상승 모멘텀을 강화했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의 데이터에 따르면, 고래 투자자 qianbaidu.eth는 두 개의 지갑을 통해 총 26만 900개의 HYPE를 매입했으며, 그 규모는 약 1,807만 달러(250억 원)에 달한다. 추가로, 다른 고래 주소인 0xe0f0는 13만 6,906개의 HYPE를 매수하여 약 960만 달러(133억 원)의 롱 포지션을 설정했다. 또 두 개의 다른 지갑들도 각각 약 30억 원과 28억 원어치의 HYPE를 매입한 후 일부를 스테이킹해 투자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집중 매수는 시장에서 강한 매수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
하이퍼리퀴드의 가격은 이러한 매수세의 영향으로 상승하여, 코인게코(CoinGecko) 기준으로 52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하루 전과 비교해 7%, 일주일 기준으로는 13% 상승한 수치다. 하루 거래량은 약 5,000억 원에 달하며, 기관과 고래 중심의 수급 구도가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기술적 분석가 카므란 아스가르는 하이퍼리퀴드의 가격 흐름이 명확한 상승 추세선 상에서 견고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52달러 선이 향후 강한 저항선으로 작용할 것이며, 이 구간을 돌파할 경우 54~56달러 구간까지 추가 상승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하이퍼리퀴드는 지난 8월 이후 세 차례 지지선을 테스트한 후 강하게 반등하며 하방 압력에 대해 내성을 증명하였다.
더불어, 오는 9월 14일에는 하이퍼리퀴드의 스테이블코인 전략에 있어 중요한 분기점이 될 거버넌스 투표가 예정되어 있다. 이번 투표는 플랫폼의 내부 스테이블코인인 USDH의 분포를 조정하여 기존 USDC에 대한 편중을 줄이고 자체 생태계를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이 제안이 통과될 경우 최대 55억 달러(약 7조 6,450억 원)의 자산이 USDH 기반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 결과 연간 약 2억 2,000만 달러(약 3,058억 원)의 수익이 보유자들에게 분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적으로 결합된 토큰 구조와 거버넌스 전략은 하이퍼리퀴드의 중장기 성장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기술적 저항선의 돌파가 중요하지만, 고래 중심의 자금 유입과 커뮤니티 주도의 생태系统 개선이 지속되면 중장기 랠리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