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리퀴드(HYPE), 고래의 이익 실현에도 불구하고 43달러 지지선 유지

[email protected]



하이퍼리퀴드(HYPE)는 최근의 조정에도 불구하고 43달러(약 5만 9,770원)를 강력한 지지선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상승세를 지속하는 ‘상승 채널’을 이루고 있다. 특히 한 고래 투자자가 HYPE에서 대규모 이익을 실현하고 이더리움(ETH)으로 자금을 옮긴 사건이 시장에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자금 이동은 향후 HYPE의 추가 반등 가능성을 더욱 궁금하게 만든다.

31일 기준으로 하이퍼리퀴드는 44달러(약 6만 1,160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하루 동안 2%, 주간으로는 4% 상승하는 성과를 올렸다. 지난 4월 이후 완만한 상승 추세를 따라 고점과 저점을 각각 상승시키며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뚜렷하다. 이번 반등은 하단 추세선에서 이루어져, 매수 심리가 여전히 시장에 존재함을 보여준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 스토캐스틱 RSI는 매도세 과열 구간인 20 이하로 진입하며, 현재 19.83과 17.51의 값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단기적인 가격 반전을 시사하는 신호로 해석되어, 일부 투자자들은 회복 흐름이 곧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아직 RSI 선 간의 골든크로스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관망세도 동시에 감돈다.

거래 흐름에서는 흥미로운 변화가 포착되었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에 따르면 한 대형 지갑이 HYPE 포지션에서 약 1,360만 달러(약 189억 8백만 원)의 이익을 실현하고, 이를 3,322 ETH(약 1,284만 달러, 약 178억 5,760만 원)로 재배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HYPE에서 ETH로의 투자 심리 이동을 보여주는 증거로 해석된다. 반면, 제임스 윈은 같은 플랫폼에서 레버리지 거래로 100만 달러(약 13억 9,000만 원) 이상의 손실을 본 사실이 보고되며, 시시각각 변동하는 시장의 리스크를 잘 보여준다.

하이퍼리퀴드는 거래소 차원에서도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2분기에는 약 6,480억 달러(약 902조 7,200억 원)의 거래량을 기록하였고, 최근 12개월 기준으로 누적 거래량이 1.57조 달러(약 2천 1조 2,300억 원)에 달했다. 이러한 강력한 지표는 영구계약형 탈중앙화 거래소(Perp DEX) 시장 내에서 6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API 문제로 인해 일부 사용자에게 거래 오류가 발생하기도 했다. 하이퍼리퀴드 측은 보안 침해가 아닌 트래픽 급증으로 인한 일시적인 문제라는 점을 강조하며, 피해자에 대한 보상을 진행 중이다.

현재 HYPE는 43달러와 9일 이동평균선에서 지지를 받고 있으며, 하방으로는 42달러, 36달러, 32.5달러 구간이 추가적으로 지지선으로 언급되고 있다. 반면, 저항선은 44.31달러를 시작으로 45달러(21일선), 46.28달러, 그리고 직전 고점인 50달러(약 6만 9,500원)까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며칠간 HYPE의 주요 지지선 유지 여부와 이에 따른 추가 반등 시도가 관전 포인트로 떠오르고 있다. 과매도 신호가 강화되는 가운데, 고래 자금의 흐름과 거래소의 펀더멘털이 가격 반등을 유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