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산업은행이 한화오션의 지분 19.5%인 5,973만 8,211주를 매각하기로 했다. 이는 2000년 대우중공업(현재 한화오션) 지분을 출자전환을 통해 확보한 지 25년 만의 결정이다. 금융권 소식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28일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매각을 위한 수요예측을 시작했다. 수요예측을 바탕으로 보유 지분을 여러 기관에 나누어 매각할 계획이다.
산업은행의 이번 결정은 K조선업의 호황으로 한화오션의 주가가 상승함에 따라 공적자금을 회수하기에 적절한 시점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작년 11월 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직전에 한화오션의 주가는 주당 27,800원이었으나, 28일 기준으로 주당 89,300원으로 3.2배 상승했다. 산업은행은 장기적으로 보유 중인 한화오션의 모든 지분을 매각할 목표를 세우고 있으며, 현재 보유 지분 가치는 5조3,000억 원을 넘는다.
산업은행의 지분 매각 결정은 내부 자산 건전성 강화를 위한 필요성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현재 13.9%로 국내 20개 은행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올해 1분기 종료 시점에 추가 하락이 예상되고 있다. 당국에서는 BIS 자기자본비율을 13% 이상 유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주식 보유 비율이 높을수록 이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지분 매각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의 영향으로 정책 금융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외부 환경도 산업은행의 결정을 더욱 부각시켰다. 현재 한화오션의 최대주주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한화그룹의 지분율은 46.28%에 달한다.
산업은행은 지난 25년 동안 한화오션에 7조 원 이상을 투자했으며, 2022년에는 한화그룹에 일부 지분을 매각하여 약 2조 원을 회수한 바 있다. 이러한 경과로 볼 때, 한화오션 지분 매각은 산업은행의 포트폴리오 효율성 강화와 자산 건전성 제고를 위한 중요한 단계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