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10대 그룹, 기업가치 제고 공시에 나서며 주가 상승

[email protected]



한국의 10대 그룹이 모두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공시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의 주가 수익률은 시장 평균을 초과하는 성과를 보였으며, 이는 주주환원 및 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14일 GS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함으로써 10대 그룹에 속하는 상장사 115개 중 49개사가 이번 공시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는 전체 시가총액의 51.2%를 차지하며, 기업가치 제고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5년 8월까지 누적 공시 기업 수는 162개사로, 코스피 시장 126개사와 코스닥 36개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8월에는 영원무역, HS애드, GS, 영원무역홀딩스의 신규 공시가 있었고, 메리츠금융지주, 현대모비스 및 DB증권은 정기적으로 공시를 제출하였다. 특히 메리츠금융지주는 2024년 7월 첫 공시 이후 분기별로 이행 현황을 공개하여 총 6회에 걸쳐 모범적으로 공시를 진행했다.

주주환원에 있어서도 HMM은 2.1조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발표했고, 메리츠금융지주와 NAVER는 각각 5514억 원과 3684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공시했다. 현금 배당 측면에서도 POSCO홀딩스가 1891억 원, LG가 1542억 원, KT&G가 1499억 원을 배당하여 주주 가치를 체계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주주환원 규모는 매입, 소각 및 배당 모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주주환원, 수익성 및 자본 효율성을 기준으로 나뉜 밸류업 지수는 8월 한 달간 1.8% 하락했지만, 연초 대비 33.2% 상승하여 시장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또한, 밸류업 ETF의 순자산도 8294억 원으로 제도 도입 당시 대비 67% 증가하였다. 공시 기업들의 주가는 올해 들어 평균 31.4% 상승했으며, 코스피 대비 1.3%포인트, 코스닥 대비 4.1%포인트 초과 성과를 기록하였다.

이번 밸류업 공시는 위기 속에서도 기업들로 하여금 투명한 경영 및 주주 가치를 제고하도록 이끌고 있으며, 이는 전체 시장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각 기업의 향후 공시와 실적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