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에 위치한 이민 당국 구금 시설에 수감 중인 한국인 근로자들이 오는 10일(현지시간) 한국행 전세기를 탈 가능성이 높아졌다. 조기중 워싱턴 총영사는 7일 오후 포크스턴의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에서 기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귀국 시점에 대해 “수요일(10일)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들은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체포된 이들이며, 총 475명이 체포된 가운데 300명이 한국인이다. 정부는 이들을 안전하게 귀국시키기 위해 전세기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 전세기는 포크스턴 구금시설에서 약 50분 거리에 위치한 플로리다주 잭슨빌 국제공항을 출발할 예정이다. 조 총영사는 “전세기 운용에 대해 기술적인 협의를 거쳐 가장 가까운 거리가 잭슨빌 공항이라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 소속 관계자들은 애틀랜타 총영사관 등 주미 한국 공관에서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들과 면담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여성 직원들은 별도의 여성 전용 구금 시설에 수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총영사는 구금된 한국인들의 상태에 대해 “식당에서 모두 모여 있는 모습을 봤는데, 다들 잘 지내고 있다”며 “자택만큼 편안하지는 않지만 특별한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희망하는 분들을 신속히 한국으로 보내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으며, 개별 의사를 확인하는 절차를 빠르게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인권 단체들은 이번 이민 단속 작전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불법 체류자 고용이 ‘범죄’로 간주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의 국경 안보 총괄 책임자인 톰 호먼은 이러한 유사한 대규모 단속이 계속될 것이며, 정상 비자를 갖추지 않은 외국인 고용은 범죄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불법 체류 외국인을 저임금으로 고용하는 기업이 경쟁을 저해하는 부당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맥락에서, 정부와 외교 당국은 한국 국민의 안전하고 신속한 귀국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대통령실은 석방 교섭이 이미 마무리되었음을 밝혔으며, 행정 절차가 완료되는 대로 전세기가 출발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사건은 미주 지역 내 한국인 근로자들 사이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으며, 향후 유사한 사건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