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이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가상자산 거래국으로 부상했음에도 불구하고, 금융사의 가상자산 산업 진출이 제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는 국내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을 한계에 직면하게 만들고 있으며, 시장 참여자들은 금융과 가상자산 간의 긴밀한 협업을 요구하고 있다.
추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에서 가상자산 투자자는 약 970만 명에 달하며, 이는 개인 투자자만으로 이루어진 수치다. 그러나 금융회사의 참여가 원천적으로 차단된 상태에서, 국내의 가상자산 거래 시장 규모는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시장의 성장은 개인 투자자들의 단순 거래 수익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25 매일경제 가상자산 콘퍼런스가 지난 3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렸다. 주요 금융 관계자와 정책 입안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금융위원회 안창국 금융산업국장은 가상자산 관련 지분 투자 및 거래소 진출에 대한 금지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현재의 규제 틀 내에서는 금융사의 가상자산 산업 참여가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며, 이로 인해 금융기술 산업 간의 융합과 혁신이 저해되고 있다.
반면, 미국에서는 파이어블록스와 같은 가상자산 관리 플랫폼이 세계 최대 수탁은행과 협력해 가상자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앵커리지 디지털은 독립적으로 가상자산 커스터디 및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지난해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하여 가상자산을 금융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게 한 바 있다. 이러한 유연한 규제 환경이 미국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홍콩 또한 가상자산의 실물경제 통합을 위한 LEAP 전략을 채택하고 있으며, 새로운 제도를 통해 금융사와 가상자산 간의 협업을 촉진하고 있다. 이는 국내 시장에 비해 훨씬 상향식 접근법을 보여준다. 한국에서 가상자산 커스터디 기업이나 인프라 스타트업에 대한 금융지주사의 투자 참여가 제한적이었던 만큼, 사실상 성장 동력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국내 가상자산 사업 환경을 고려할 때, 금융당국은 전통 금융사와 가상자산 업체 간의 긴밀한 협력이 없이는 시장의 지속 가능한 성장이 어렵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 현재 국내 가상자산 사업자의 구조를 살펴보면, 거래 수익이 98%에 달하는 반면, 해외 거래소들은 다양한 사업 모델로 수익을 다각화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가상자산 생태계가 경쟁력을 잃게 만드는 큰 요인이다.
따라서 한국은 가상자산과 금융 간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규제 환경을 조성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해야 할 시점이다. 이를 통해 시장의 다양성과 생태계를 촉진할 수 있으며,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에서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