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지속적인 경기침체 속에서 물가 상승세를 보이며 진퇴양난의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정치권에서 논의되고 있는 추가경정예산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5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1월 전체 물가는 작년 대비 2.2% 상승하며, 1%대에서 2%대로의 복귀를 알렸다. 이는 작년 7월 2.6%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작년 11월부터 시작된 소비자물가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서민 생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채소류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무 가격은 무려 79.5% 상승했으며, 배추는 66.8%로 급등했다. 돼지고기 가격도 8.4% 상승하며 서민의 생활에 직격탄을 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격 상승은 원화 가치 하락과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것이라고 기획재정부의 황경임 물가정책과장이 설명했다. 그는 “당분간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는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은행은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원화 가치 하락이 수입물가를 올려 0.1%포인트 기여했음을 평가하고 있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국제유가 상승과 원화 가치 하락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물가의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내수 소비, 투자, 고용의 부진이 뚜렷하게 나타나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침체 속에서도 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을 의미하며, 경제 정책에 큰 도전이 될 수 있다.
또한,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한국 경제에 미칠 잠재적인 충격도 우려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씨티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가 시행될 경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에는 최대 0.44%의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만약 한국에 대한 관세까지 도입된다면 올해 경제성장률이 0%대로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물가 안정이 민생 제1과제라는 인식 하에 6일 민생경제 점검 회의를 통해 상황을 면밀히 살펴보고 안정적인 관리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경제는 내우외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가 겹치는 상황에서 향후 정책 대응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