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2024년 주요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세계 시장 점유율 분석 결과를 발표하며, 지난해 한국 기업들이 D램 반도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낸드 플래시 반도체, 초박형 TV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이 모든 분야에서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한국의 기술력을 세계에 다시 한번 입증했다.
D램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41.1%, SK하이닉스는 33.8%에 달하며, OLED 패널 분야에서도 삼성전자가 41.7%의 점유율로 선두를 지키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23.8%로 뒤를 잇고 있으며,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서도 삼성전자가 34.8%, SK하이닉스가 21.3%로 강력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 초박형 TV 부문에서도 삼성전자(16.3%)와 LG전자(14.6%)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한국이 기술력 분야에서 미국, 중국, 일본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1위 품목 수를 기록하게 해주었다. 미국은 2023년보다 1개 분야 증가하여 27개로 늘어났고, 중국도 1개 증가해 18개에 달했다. 일본은 1개 줄어 9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닛케이는 또한, 암 치료제와 생성형 인공지능(AI) 관련 기술 및 서비스 등 6개 분야에서 세계 1위 업체가 변화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중국의 주요 기업들이 참여하는 15개 분야에서 점유율이 감소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중국의 감시 카메라 시장은 2023년 52.5%였으나 지난해에는 49.9%로 2.6% 포인트 하락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와 가정용 에어컨 분야에서도 점유율이 낮아졌다.
미국의 중국 제품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이러한 점유율 하락세는 더욱 두드러진다. 닛케이는 중국의 부동산 거품 붕괴와 내수 시장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 중국 기업의 경쟁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차와 스마트폰 부문에서는 아직도 중국 기업들이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같은 데이터는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잘 보여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기술 혁신과 시장 확대에 기여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추가 연구 개발과 세계 시장 전략을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글로벌 리더십을 더욱 확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